번역 (110) 썸네일형 리스트형 [논어의 명문장] 필야사무송호(必也使無訟乎, 반드시 소송이 없도록 하겠다) 선생님께서 말씀하셨다. “송사를 듣고 처리하는 것은 나도 남과 마찬가지다. (그러나 나는) 반드시 송사가 없도록 할 것이다.”子曰, 聽訟, 吾猶人也. 必也使無訟乎! 『논어』 「안연」 편에 나오는 구절입니다. ‘청송(聽訟)’은 소송하는 사람들 이야기를 듣고 옳고 그름을 판결하는 일입니다. ‘유(猶)’는 ‘마찬가지’ 또는 ‘다를 바 없다’는 말입니다. ‘인(人)’은 보통 ‘사람’으로 풀지만, 여기에서처럼 ‘남’이라는 뜻으로도 쓰입니다. ‘필야(必也)’는 ‘어찌해서든 반드시’라고 풀이하는데, 야(也)는 특별한 뜻 없이 음절을 맞추려고 넣은 어조사입니다. ‘사(使)’는 ‘~하게 하다’입니다. 뒤에 목적어 ‘백성들’이 생략되었다고 볼 수도 있습니다. ‘호(乎)’는 단정적인 뜻을 표시하는, 또는 의지를 표시하는 종.. [시골마을에서 한시를 읽다] 상건(常建)의 왕창령이 숨어 살던 곳에 묵으면서[宿王昌齡隱居] 왕창령이 숨어 살던 곳에 묵으면서 상건(常建) 맑은 시내는 깊어서 잴 수가 없는데,숨어 살던 곳에는 오직 외로운 구름뿐.소나무 가지에 걸린 초승달,맑은 빛은 아직도 그대를 위해 비추네. 宿王昌齡隱居淸溪深不測,隱處唯孤雲.松際露微月,淸光猶爲君. 상건(常建, 708~765?)은 성당(盛唐) 때의 시인입니다. 예전에 같이 공부했지만, 당시(唐詩)는 크게 초당(初唐), 성당, 중당(中唐), 만당(晩唐)으로 시기가 구분됩니다. 이른 절정을 맞고 그 여파가 오래갔다고 볼 수도 있습니다. 성당 때에는 이백과 두보가 활약하면서 시의 꽃을 활짝 피웠습니다. 상건도 그 무렵의 시인입니다. 왕창령(王昌齡, 698~765?) 역시 성당 때의 뛰어난 시인입니다. 상건보다 열 살 위였지만, 두 사람은 개원(開元) 15년(727년).. [시골마을에서 대학을 읽다] 절차탁마(切磋琢磨, 자르고 다듬고 쪼고 갈다) 『시경』에 이르기를, “저 기수(淇水)의 물굽이를 쳐다보니, 조개풀[菉竹]이 아름답고 아름답구나. 멋있는 군자여, 잘라놓은 것 같고 다듬는 것 같고 쪼는 것 같고 가는 것 같다. 엄숙하구나, 넉넉하구나, 빛나는구나, 의젓하구나. 멋있는 군자여, 끝내 잊을 수 없구나!”라고 했다. 자르는 것 같고 다듬는 것 같다는 말은 배움을 말하는 것이요, 쪼는 것 같고 가는 것 같다는 말은 스스로 닦는다는 것이다. 엄숙하구나, 넉넉하구나 하는 말은 두려워 떨림이요, 빛나는구나, 의젓하구나 하는 말은 위엄 있어 본받을 만함이다. 멋있는 군자여, 끝내 잊을 수 없구나 하는 말은 풍성한 덕과 지극한 선함을 백성들이 잊을 수 없음을 말함이다.詩云, 瞻彼淇澳, 菉竹猗猗. 有斐君子, 如切如磋, 如琢如磨. 瑟兮僩兮, 赫兮喧兮. 有.. [시골마을에서 한시를 읽다] 안수(晏殊)의 「서원(西垣)에 석류꽃이 피다[西垣榴花]」 서원(西垣)에 석류꽃이 피다안수(晏殊) 산 나무에 달콤한 열매 달리나니,맑은 궁중에 뿌리를 내렸구나.시절은 꽃이 흩날려 떨어지는데,홀로 무더운 바람 타고 피어나누나. 西垣榴花晏殊 山木有甘實,托根淸禁中.歲芳搖落盡,獨自向炎風. 안수(晏殊)는 송나라 때의 학자이자 시인입니다. 오랜 전란으로 무너진 학교의 부흥에 힘써 범중엄(范仲淹), 구양수(歐陽修) 등을 길러냈습니다. 「서원(西垣)에 석류꽃이 피다」는 그의 대표작 중 하나로, 요즈음 같은 초여름에 읽기 좋은 시입니다. 서원(西垣)은 서대(西臺), 즉 중서성(中書省)의 별칭입니다. 중서성은 주로 황제의 조칙을 작성하는 등 황제의 비서실 같은 기관으로 황제의 힘이 강화될 때마다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궁궐의 서쪽 담 근처에 있었으므로 서대 또는 서원이라고 불렸.. [논어의 명문장] 약성여인즉오기감(若聖與仁則吾豈敢, 성이나 인이라면 내가 어찌 감당하겠는가) 선생님께서 말씀하셨다. “성(聖)이나 인(仁)이라면, 내가 어찌 감당하겠는가? 다만 그것(성이나 인)을 배우는 데 싫증내지 않고, [성이나 인으로] 다른 사람을 가르치는 일에 게으르지 않는 점에서는 그렇다고 말할 수 있을 뿐이다.”공서화가 말했다. “[그것이] 바로 제자들이 본받을 수 없는 점입니다.”子曰, 若聖與仁, 則吾豈敢? 抑爲之不厭, 誨人不倦, 則可謂云爾已矣. 公西華曰, 正唯弟子不能學也. 『논어』 「술이(述而)」 편에 나오는 구절이다. 이 구절은 「술이」 편의 두 번째 구절인 “배우면서 싫증내지 않으며, 남을 가르치면서 게으르지 않은 것”과 똑같은 문장이다. 공자는 이 말을 자주 했던 것 같다. 이 구절에서는 그 배움과 가르침의 내용을 이야기하고 있다. 곧 ‘성(聖)’과 ‘인(仁)’이다. 공자가 .. [시골마을에서 대학을 읽다] 경지(敬止, 머무름을 공경하다) 『시경』에 이르기를, “아름답고 아름답구나, 문왕이시여! 아아, 밝디밝은 모습으로 머무름을 공경하는구나!”라고 했다. 임금이 되어서는 인(仁, 어짊)에 머무르고, 신하가 되어서는 경(敬, 공경함)에 머무르고, 자식이 되어서는 효(孝, 효도함)에 머무르고, 부모가 되어서는 자(慈, 자애로움)에 머무르고, 사람들과 사귈 적에는 신(信, 믿음)에 머무른다.詩云, 穆穆文王, 於緝熙敬止! 爲人君止於仁, 爲人臣止於敬, 爲人子止於孝, 爲人父止於慈, 與國人交, 止於信. 이 문장은 따로 독립되지 않고, 지난주 읽은 것에 이어집니다. 계속해서 지어지선(止於至善) 중 ‘지(止)’의 뜻을 밝히고 있습니다. 먼저 앞 문장부터 풀이해 보겠습니다. 『시경』에 이르기를, “아름답고 아름답구나, 문왕이시여! 아아, 밝디밝은 모습으로 .. [시골마을에서 대학을 읽다] 지기소지(知其所止, 그 머무를 곳을 안다) 매주 금요일과 토요일 아침 9시부터, 홍동밝맑도서관에서 마을 사람들과 같이 사서(四書) 중 『대학』을 읽고 있습니다. 그 공부한 기록을 여기에 옮겨 적습니다. 지금 경(經)은 모두 읽고 전(傳)의 세 번째 장을 읽는 중입니다. 『시경』에 이르기를, “나라 땅 천 리에 오직 백성들이 머무르고자 하는구나.”라고 했다. 『시경』에 이르기를, “지저귀는 노랑 새여, 언덕 귀퉁이에 머무는구나.”라고 했다. [이에 대해] 선생님께서 말씀하시기를, “머무를 바에 있어서 그 머무를 곳을 아나니, 사람으로서 어찌 새만 같지 못할 수가 있겠는가?”라고 했다. 詩云, 邦畿千里, 惟民所止. 詩云, 緡蠻黃鳥, 止于丘隅. 子曰, 於止, 知其所止, 可以人而不如鳥乎? 삼강령(三綱領) 중 지(止)의 뜻을 설명하는 구절들입니다. 고본 .. [시골마을에서 한시를 읽다] 왕수인(王守仁)의 산속에서 제자들에게(山中示諸生) 산속에서 제자들에게왕수인(王守仁) 개울가에 앉아 흐르는 물을 바라보나니물이 흘러감에 마음도 같이 한가롭다.산 위에 달이 떠오르는 것도 몰랐는데,솔 그림자 떨어져 옷 위에 얼룩지네. 山中示諸生 溪邊坐流水, 水流心共閑. 不知山月上, 松影落衣斑. 오늘 읽을 한시는 왕수인(王守仁, 1472~1529)의 「산 속에서 제자들에게 주다(山中諸示生)」라는 명나라 때 시입니다. 왕수인의 호는 양명(陽明)입니다. 양명학(陽明學)의 창시자로 앎과 함이 하나라는 지행합일(知行合一)의 정신을 강조한 것으로 유명합니다. 이 시는 자신의 깨달음을 함축해서 전하기 위해 지었다고 합니다. 어떤 뜻에서 그런지 차분히 감상해 보겠습니다.먼저 왕수인의 사상에 대해 간략히 살펴보겠습니다. 그 역시 주자의 학문을 깊이 숙고하는 데에서 공부를 .. 이전 1 ··· 6 7 8 9 10 11 12 ··· 14 다음 목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