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번역

(110)
[논어의 명문장] 욕거구이(欲居九夷, 구이 땅에서 살고 싶다) 선생님께서 구이(九夷) 땅에서 살고 싶어 하셨다. [그러자] 누군가 말했다. “누추한데 어떻게 하시렵니까?” 선생님께서 말씀하셨다. “군자가 거기에 산다면, 무슨 누추함이 있겠느냐?”子欲居九夷. 或曰, 陋, 如之何. 子曰, 君子居之, 何陋之有. 『논어』 「자한(子罕)」 편에 나오는 구절이다. 이 구절은 「공야장」 편에 나오는 “도가 행해지지 않아서 뗏목을 타고 바다를 떠돈다면[道不行, 乘桴浮于海]”이라는 구절과 같이 읽어야 한다. 사실 공자는 혼란한 세상을 떠날 마음이 전혀 없었지만, 여러 나라를 편력하면서 천하를 구하고자 하는 자신의 포부가 수용되지 못하는 현실에 때때로 좌절하곤 했다. 그래서 탄식하듯이 이런 말을 한 것이다. 그러므로 여기에서 우선해서 읽어야 할 것은 ‘구이(九夷)’의 장소적 실체가 ..
[논어의 명문장] 욕속부달(欲速不達, 서두르면 이룰 수 없다) 자하가 거보 땅의 우두머리가 되어 정치에 대해 물었다. 선생님께서 말씀하셨다. “서두르려 하지 말고, 작은 이익을 보려 하지 마라. 서두르면 달성할 수 없고, 작은 이익을 보려 하면 큰일을 이루지 못한다.”子夏爲莒父宰, 問政. 子曰:“無欲速, 無見小利. 欲速則不達, 見小利則大事不成.” 욕속부달(欲速不達)은 서두르면 일을 망치기 쉽다는 뜻이다. 송나라 정이(程頤)는 자하(子夏)가 작고 가까운 것에 마음을 너무 쓰는 버릇이 있었으므로 공자가 이렇게 말했다고 주석했다. 자하는 자식이 죽은 슬픔에 애통해하다가 눈이 멀었다고까지 전한다. 슬픔이 지나쳐서 자신을 해치는 지경에까지 이르렀으니, 이것이 바로 작은 일에 온 마음을 쓰는 자하의 본래 심성일 것이다. 공자는 자하의 이러한 점을 잘 알았기에 크고 멀리 보라고..
[논어의 명문장] 승부부해(乘桴浮海, 뗏목을 타고 바다를 떠돌다) 선생님께서 말씀하셨다. “도가 행해지지 않아서 뗏목을 타고 바다에 떠간다면, 나를 따를 사람은 아마 유(由, 자로)이리라.” 자로가 그 말을 듣고 기뻐했다. 그러자 선생님께서 말씀하셨다. “유가 용맹을 좋아함은 나보다 낫지만, [뗏목 만들] 나무를 취할 곳이 없구나.”子曰:“道不行, 乘桴浮于海. 從我者, 其由與?” 子路聞之喜. 子曰:“由也好勇過我, 無所取材.” 공자는 천하를 편력했으나 등용되지 못하여 뜻을 펼칠 수 없었다. 희망에 지친 공자는 작은 뗏목이나 타고 바다를 떠돌며 세상 밖에서 살고 싶다고 하면서, 이때에도 따를 사람은 자로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자로에 대한 굳은 믿음과 함께 자신의 정치적 이상이 받아들여지지 않는 세상에 대한 좌절을 드러낸 것이다. 그런데 ‘행동의 인간’이었던 자로는 공..
[논어의 명문장] 부지육미(不知肉味, 고기 맛을 잊었다) 선생님께서 제나라에 있었을 때, 소(韶)를 듣고는 석 달 동안 고기 맛을 잊으셨다. [그러고는] 말씀하셨다. “음악을 하는 것이 여기에까지 이르렀을 줄은 생각지 못했구나.”子在齊聞韶, 三月不知肉味, 曰:“不圖爲樂之至於斯也.” 부지육미(不知肉味), 즉 “고기 맛을 알지 못했다”는 구절은 「술이(述而)」 편에 나온다. 『논어』에는 가끔 대단히 감각적 표현이 나오는데, 나는 이 구절을 첫손에 꼽고 싶다. 공자 당시에 고기는 아무나 먹을 수 없는 귀족의 전유물이었다. 따라서 고기란 가장 강렬한 세속적 쾌락을 상징한다. 이에 비할 수 있는 것은 아마도 “색(色)”밖에 없을 것이다. 좋은 예술은, 즉 문명과 문화는 덧없이 사라질 육체의 말초적 즐거움을 넘어서 삶의 진정한 가치를 생각하도록 만든다. 서른다섯 살, 조..
[논어의 명문장] 후생가외(後生可畏, 젊은이들은 두려워할 만하다) 선생님께서 말씀하셨다. “젊은이들은 두려워할 만하다. 뒤에 오는 사람이 지금 사람만 같지 못하리라는 것을 어찌 알겠는가? 마흔 살 쉰 살이 되어도 이름이 알려지지 않으면, 이 또한 두려워할 것이 없다.”子曰:“後生可畏, 焉知來者之不如今也? 四十五十而無聞焉, 斯亦不足畏也已矣.” 「자한(子罕)」 편에 나오는 구절이다. 후생가외(後生可畏)라는 성어가 여기에서 유래했다. 이 말은 공자가 자신의 가장 뛰어난 제자였던 안회(顔回)를 염두에 두고 했다는 설이 있다. 옛것을 숭상했던 공자로서는 예외적이다. 제자들을 격려하면서 한 말로, 젊은이로서 앞날이 많고 힘이 넘치는 것에 만족하지 말고 학문의 도를 얻기 위해 거듭 노력해 마흔이 될 무렵에는 그 이름이 저절로 알려지기를 바라라는 뜻이다. 리링에 따르면, 공자는 “그..
[논어의 명문장] 삼인행(三人行, 세 사람이 길을 가다) 선생님께서 말씀하셨다. “세 사람이 길을 가면, 반드시 그중에 나의 스승이 있다. [그 가운데] 나보다 나은 사람의 좋은 점을 골라서 그것을 따르고, 나보다 못한 사람의 좋지 않은 점을 가려내어 그것을 바로잡는다.” 子曰:“三人行, 必有我師焉, 擇其善者而從之, 其不善者而改之.” 이 말은 『논어』 「술이(術而)」 편에 나온다. 널리 알려진 말로 다른 설명이 필요 없을 정도이다. 여러 번역본을 보아도 해석이 거의 다르지 않다. 쟁점이 있다면, 아마도 왜 세 사람인가 하는 점일 것이다. 리쩌허우는 두 사람이어도 내가 따르고 바로잡을 바가 있을 것이라고 말한다. 사실 셋이어야만 하는 특별한 이유는 없어 보인다. 고본에는 “三人行”이 아니라 “我三人行”이라고 되어 있으며, 리링에 따르면 오대(五代) 무렵에 아(我..
[연암집을 읽다] 글을 어떻게 쓸 것인가? 글을 어떻게 쓸 것인가?초정집서(楚亭集序)에서 글을 어떻게 쓸 것인가? 논하는 자들은 반드시 옛 글을 본받아야[法古] 한다고 한다. 그래서 옛 글을 베끼고 본뜨면서도 세상이 이를 부끄러워하지 않게 되었다. (중략) 그렇다면 새롭게 창조해야[刱新] 옳은가. 그래서 괴이하고 거짓되며 현혹하고 편벽한 글이 있어도 세상이 이를 두려워할 줄 모르게 되었다. (중략)그러면 어찌 해야 옳은가? 앞으로 나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글을 쓰지 말아야 하는가?아아, 옛 글을 본받아야 한다는 사람은 자취에만 구애되는 것이 병이고, 새롭게 창조해야 한다는 사람은 상도(常道)에서 벗어나는 것이 근심이다. 진실로 옛 글을 본받으면서도 [오늘에 맞추어] 변화할 줄 알고, 새롭게 창조하면서도 [옛 글처럼] 전아할 수 있다면, 요즈음 ..
[연암집을 읽다] 열매와 꽃 무릇 군자는 화려한 꽃을 싫어하니 무슨 까닭인가.꽃이 크다고 해서 반드시 그 열매를 맺지는 않으니 모란과 작약이 그렇다.모과 꽃은 목련에 미치지 못하고, 연밥은 대추나 밤과 같지 않다.박에 꽃이 달리더라도, 보잘것없고 못생겨서 다른 꽃과 함께 봄을 아름답게 하지 못하지만 박 넝쿨은 멀고 또 길게 뻗어 나간다. 박 한 덩이는 크기가 여덟 식구를 먹이는 데 충분하고, 박씨 한 묶음은 밭 백 이랑을 덮기에 충분하다. 또한 박을 타서 그릇을 만들면 곡식 몇 말을 가득 채울 만하다. 그러므로 꽃과 열매를 똑같이 여기는 것은 도대체 무슨 까닭이란 말인가.―「이자후(李子厚)의 아들을 위한 시축(詩軸, 시 적은 두루마리)의 서문」 夫君子之惡夫華, 何也. 華大者, 未必有其實, 牡丹芍藥是也. 木瓜之花. 不及木蓮. 菡萏之實..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