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960)
1000쪽 넘는 벽돌책을 내는 진짜 이유 《한국일보》에 1000쪽 넘는 벽돌책에 대한 조태성 기자의 기사가 실렸다. 상당히 흥미로운 기사다. 아래 인용해 둔다. 한동안 누워 잘 때 베개로 쓸 만한 두께의 ‘벽돌책’이 화제였다. 그런데, 기준을 조금 더 높여(벽돌책이 600~700쪽 정도라면) 아예 1,000쪽이 넘는 책들도 요즘 적잖게 나오고 있다. 말하자면 ‘베고 자려 해도 목이 부러질 책’들이다. 단군 이래 최대 출판 불황이라는데 도대체 이런 책은 왜 낼까.최근 교보문고에 의뢰해 1,000쪽 이상 되는 책 리스트를 뽑았다. 사전, 전집류는 다 빼고 단행본을 기준으로 삼았다. 디지털 때문에 아날로그가 죽어가는 시대라는 아우성이 가득하건만, 의외로 1,000쪽이 넘어가는 책의 융성은 ‘21세기적 현상’이다. 1990년대에는 1,000쪽 이상의 ..
아마존의 다섯 가지 핵심 실천과제 작년 프랑크푸르트도서전에 갔을 때, 아마존 POD 담당자의 사업 설명을 들을 수 있었습니다. 그때 나왔던 장표 중 하나가 아마존의 다섯 가지 핵심 실천 과제입니다. 아주 인상 깊은 장표였습니다. 그동안 잊고 있었는데, 최근 이런저런 생각을 하느라 메모를 뒤적이다가 간단히 정리해 공유합니다. 독자를 중심에 두고, 우리는 다섯 가지 핵심 실천 과제를 통해 가치를 전달한다.첫째, 서점에 책이 없다면, 독자는 그 책을 사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출판사, 저자, 도매상, 소매상 등과 긴밀하게 협력하면서 독자들이 언제, 어디서든지 책을 고를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둘째, 서점에서 지금 즉시 책을 구할 수 있느냐, 일주일 후에 구할 수 있느냐, 한 달 후에 구할 수 있느냐는 커다란 차이가 있다. 따라서 유연하고 민첩..
스마트폰만으로 종이책을 편집 가능한 전자문서로 만들 수 있는 세상에서 출판은 어떻게 해야 할까 나만 모르고 있었나. 스마트폰만 있으면 간단하게 책을 포함한 인쇄물을 전자문서로 바꿀 수 있었다. 실제로 따라해 보니 그 과정이 너무 쉬워서 놀라울 정도다. 스마트폰, 무료 PDF 어플 하나, 구글 문서만 있으면 된다. 이 과정을 설명한 Chiseok님의 블로그 포스트 「인쇄물을 편집 가능한 워드 문서로 만드는 방법 - 구글 문서 이용」을 보면서, 이전에도 이미 여러 번 이야기한 바이지만, 출판의 미래를 근본에서 다시 상상해야 할 것 같은 기분이 들어서 몇 자 적는다. 구글은 정말 갑이다!! 구글이 전 세계 도서관에 있는 책 수천만 권을 스캔하면서 확보한 문자 인식 기술을 아무렇지도 않게 구글문서에 삽입해 두었을지는 몰랐다. 종이책을 스마트폰으로 간단히 스캔해서 편집이 가능한 전자문서로 만들 수 있다. ..
웹소설의 성장이 출판에 의미하는 것 《한국경제신문》에서 가장 즐겨 보는 기사 중 하나가 ‘김보영 기자의 콘텐츠 insight’이다. 문화 콘텐츠 트렌드를 잘 포착해 주어서 아이디어 소스로 사용하기에 그만이다. 오늘 실린 기사는 「쉽다, 가볍다…이미지 홍수 시대, 쑥쑥 크는 웹소설」이다. 출판과 긴밀한 관련이 있기에 옮겨 둔다. 웹소설이 급성장하고 있다. 전체 시장 규모는 크지 않지만 매출이 해마다 2~3배씩 뛰고 있다. 온·오프라인을 통틀어 출판 관련 업계의 변화가 미미한 것을 감안하면 괄목할 만한 수치다. 네이버 웹소설과 조아라·문피아·북팔 등을 모두 합쳐 2014년 웹소설 전체 매출은 약 400억원으로 추산됐다. 지난해에는 800억원을 넘었을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올해에는 1000억원을 넘어설 수 있다는 계산이 나온다. 1년에 ‘..
영국 출판시장의 2016 마케팅 트렌드 5가지 북비즈니스 온라인판에 실린 영국 출판시장의 2016년 마케팅 트렌드 5가지는 무척 흥미롭다. 그중 가장 흥미로운 것은 영국의 출판 마케터들이 올해 가장 많이 활용하고 싶어 하는 마케팅 도구였다. (1) 소셜미디어, (2) 독자 직접 판매, (3) 온라인 서점, (4) 이벤트, (5) 뉴스레터 순이었다. 온라인 서점을 제외하면 모두 독자와 직접 연결된 상태로 마케팅을 전개하려는 열망에서 나왔다. 한국 출판사들의 마케팅이 서점 연결을 중심으로 하는 것과 상당한 대비가 된다. 이전에도 말한 바 있지만, 좁디좁은 서점 공간에서 경쟁해 가면서 판매를 일으키려고 애쓰는 일은 많은 출판 마케터들한테 힘겹고 괴로운 일이다. 그러나 독자와 직접 연결되어 다양한 아이디어를 시험해 가면서 상황을 주도하게 되면 출판 자체가 ..
치마만다 응고지 아디치에의 『우리는 모두 페미니스트가 되어야 합니다』(김명남 옮김, 창비, 2016)를 읽다 연휴에 틈틈이 치마만다 응고지 아디치에의 『우리는 모두 페미니스트가 되어야 합니다』(김명남 옮김, 창비, 2016)를 읽었다. 나이지리아 출신의 이 뛰어난 영어 작가는 타고난 이야기꾼으로서 아프리카적 현실 속에서 인간적 삶의 위엄을 이룩하려는 인물들을 작품으로 그려왔다. 이 책은 지나치게 소품이고, 페미니즘이라는 상식적 가치를 다루지만 저자 특유의 이야기 솜씨가 읽기에 리듬과 활기를 부여한다. 스무 살이 된 딸에게 꼭 읽어 보라고 권하려고 한다.그러나 이 책을 이야기할 때에는 아디치에가 소설가라는 사실을 잊어선 안 될 것이다. 그녀의 작품은 아직 우리 독자들에게 많이 알려지지 않았지만, 빠짐없이 번역되었기에 쉽게 구해서 읽을 수 있다. 나는 처음 접할 때부터 그 작품들이 마음에 들었고, 한국에 소개하기로..
독자 발굴의 시대 책장을 정리하면서 뒤늦게 《세계의 문학》 2015년 여름호를 다시 읽는다. ‘독자 발굴의 시대’를 특집으로 하고 있다. 서동욱이 쓴 ‘기획의 말’을 조금 옮겨 둔다. 글을 쓰는 사람이 있었고, 편집하는 사람이 있었다면, 이젠 읽는 사람이 있다. 지금은 다행히 씨가 말라 버렸다고 해도 좋을 어설픈 엘리트주의는 독자를 깨우쳐야 된다고 믿었다. 그러나 독자란 깨우쳐야 할 무지의 계란을 품에 안은 자가 아니라 무엇이 필요한지를 알고 있는 자, 자신이 설정한 문제를 위해 책을 구성해 주기를 저자에게 요구하는 자이다. 독자를 발굴한다는 것은 바로 이러한 요구가 어떤 것인지를 깨우치는 문제인 것이다. 따라서 지식의 생산이란, 저자로부터 독자에게 보물이 뚝 떨어지는 수동적인 수혜의 장이 될 수 없고, 독자의 요구라는 ..
[오늘의 출판뉴스] 예약 판매에 대하여 오늘 연합뉴스 기사가 출판계 트렌드로 예약 판매를 다루고 있다. ‘발견성(discoverability)’ 문제와 관련한 꽤 흥미로운 기사였다. 출판사들이 마케팅 차원에서 도입한 예약 판매 방식이 도서 판매의 한 트렌드로 자리 잡았다. 발간을 앞둔 책 홍보와 독자들의 관심이 상승 작용을 일으키면서 예약 판매 책 종류와 판매량 모두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9일 예스24에 따르면 지난해 일반 독자들에게 판매되기 전에 사전 예약 형식으로 판매된 책 수는 총 9천135권을 기록했다. 이는 2011년(3천218권)과 비교해 183%나 증가한 수치다.연도별로 보면 2012년은 3천275권으로 2011년과 비슷했지만 2013년 4천684권, 2014년에는 6천445권, 지난해에는 9천135권으로 매년 빠른 속도로 증가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