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직(職)

(245)
구독의 시대, 지역서점의 살 길을 열다 책바다봄. 경남 통영의 독립서점 봄날의책방에서 운영하는 ‘책 꾸러미 구독 서비스’ 이름이다. 25만 원을 내고 연 6회, 책방 일꾼이 선별해 보내는 책을 택배로 받아 읽는 서비스이다. 1회에 4만 원이 넘으니, 만만치 않은 가격이다. 그러나 지난 1월 28일 모집을 시작한 정기구독자 200명은 열흘이 되기 전에 마감됐다. 책바다봄은 단지 ‘책 받아 봄’을 넘어서 “좋은 책과 바다의 향기를 함께 만나는” ‘책-바다-봄’이었다. 먼저, 전국 각지의 바닷가에 자리 잡은 독립출판사 네 곳의 ‘책’이 있다. 봄날의책방을 운영하는 통영의 남해의봄날, 강원 고성의 온다프레스, 인천 강화의 딸기책방, 전남 순천의 열매하나가 힘을 모았다. 여기에 ‘바다’가 더해졌다. 지역 특산물을 함께 보내준다. 덕분에 구독자들은 두 ..
‘깜깜이 유통’이 부른 위험한 선택 최근 ‘교보문고 도매 진출, 어떻게 볼 것인가’라는 좌담회가 열렸다. ‘출판사ㆍ도매상ㆍ지역서점’을 축으로 하는 출판 유통질서 전체를 흔들 만한 사안이라 출판인들의 관심이 무척 컸다. 교보문고의 2019년 매출액은 약 6100억원, 시장점유율 1위다. 온라인서점 1위 예스24의 매출액은 5330억원, 대형체인서점 2위 영풍문고는 1449억원, 도매업체 1위 웅진북센은 1490억원이다. 다른 업체들과 상당한 차이다. 우려부터 정리하자. 교보문고의 도매 진출은 단기적으로 웅진북센 같은 도매업체의 약화를, 장기적으로 시장 독과점 업체의 출현을 가져올 것이다. 이는 출판사엔 서적 공급률 인하 압력으로, 서점엔 도매상 몰락 이후의 경영 압박으로, 독자에겐 책 가격 상승으로 이어진다. 문제는 교보문고의 도매 진출이 ..
‘주니어 평론가 시스템’의 파산과 문학 제도의 혁신 계간 《자음과모음》 봄호 특집 ‘작가-노동’이 화제다. “원고료로 생활이 가능한 ‘전업 평론가’는 과연 존재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에 문학평론가 장은정이 구체적 숫자로 답했기 때문이다. 2009~2019년까지 11년 동안 그가 발표한 글은 176편, 원고 매수로 5728매다. 대가는 총 3390만 원, 한 달 평균 46만 원이다. 이른바 ‘주니어 평론가 시스템’에 속해 상당히 많은 발표 기회가 주어졌는데도 이 정도다. 나머지 평론가들 수입은 말할 것도 없다. ‘전업 평론가’는 불가능하다. ‘주니어 평론가 시스템’은, 문학동네, 문학과지성사, 민음사, 창비 등 주요 문학 출판사의 내부 독회에 바탕을 둔 차세대 평론가 운영 체제를 말한다. 2000년대 중반 이후, 이들 출판사는 내부 편집위원, 편집자, 외부..
2019 국민독서실태조사 요약 1. 성인 종이책 연간 독서율은 52.1%, 독서량은 6.1권으로 2017년에 비해 각각 7.8%포인트, 2.2권 감소. 2. 초·중·고교생 종이책 연간 독서율은 90.7%, 독서량 32.4권, 2017년 대비 독서율 1.0%포인트 감소, 독서량 3.8권 증가. 3. 전자책 독서율은 성인 16.5%, 학생 37.2%로 2017년보다 각각 2.4%포인트, 7.4%포인트 증가. 20~30대 중심 증가 폭 확대. 오디오북 독서율은 성인 3.5%, 학생 평균 18.7%(초등학생 30.9%, 중학생 11.6%, 고등학생 13.9%). 4. 전자책, 오디오북 포함 연간 독서율은 성인이 55.7%, 학생은 92.1% 기록. 5. 대학생 독서율은 2017년 대비 2.7%포인트, 30대는 2.0%포인트 증가, 반면에 5..
‘23년 만의 반등’ 일본 출판에서 무엇을 배울까 최근 일본 출판계에 뜻밖의 일이 일어났다. 해마다 일본 출판 관련 통계를 조사해 발표하는 출판과학연구소에 따르면, 2019년 일본 출판산업 매출액이 전자책과 종이책을 합쳐서 1조 5432억 엔(추정)을 기록했다. 전년 대비 0.2% 증가한 것이다. 숫자만 보면 제자리걸음을 한 듯하지만, 지금 일본 출판계는 “바닥을 찍었다”면서 흥분에 싸여 있다. 일본 출판은 1996년 2조 6564억 엔을 기록해 매출 정점에 이른 이래 2018년 1조 5400억 엔에 이르기까지 무려 22년 동안 연속해서 후퇴와 축소를 거듭해 왔기 때문이다. 세부를 살펴보면, 종이책 및 잡지의 매출은 여전히 줄어들었다. 전년 대비 종이책 매출은 4.3% 감소한 6723억 엔, 잡지 매출도 4.9% 감소한 5637억 엔이다. 독자들 호응을..
문득문득 편집 이야기 - 상금과 선인세 신인상(문학상)의 상금 및 선인세 관련해 여러 이야기가 있는 모양이다. 단편소설 또는 시 당선 상금을 주고 나중에 소설집, 시집의 선인세로 공제하는 경우가 있는 모양인데,이건 아무리 생각해 봐도 어색하다. 처음부터 출판을 전제로 한장편소설 공모하고는 다르게 처리되어야 할 것 같다. 어쨌든 이와 관련해서 문학상(신인상)을 공모할 때 상금 대신 고료(원고료, 선인세) 등으로 기입하게 된 연유가 처음에는 전적으로 작가를 위한 선의였다는 점을 밝혀 두고 싶다. 문학상 당선 후 받는 돈을상금으로 표시하면 세법상 세금이 25%가량 되기 때문에작가가 가져가는 돈이 크게 줄어들게 된다.이 사실을 안 편집자들이 고심 끝에이를 원고료(선인세) 등으로 표기한 것이다.그러면 3.3%만 공제하면 되니까. 세월이 흘러 편집자 세..
책이 말한다, 이 부정의한 세상에 - 마흔 권의 책으로 말하는 2010년대 책 의 결산 2019년 한 해가 저물어 간다. 또한 달리는 말에서 갈라진 벽의 틈새를 보듯, 2010년대도 훌쩍 지나갔다. 지난 10년 책의 세상에서는 어떤 일이 있었을까. 2009년 아이폰 출시와 함께 ‘스티브 잡스’가 열어젖힌 ‘제4차 산업혁명’의 봇물에 휩쓸려 그사이 삶의 전 영역이 ‘좋아요’와 ‘하트’ 놀이에 중독됐다. ‘생각을 빼앗긴 세계’에서 우리는 어느새 정보와 상호작용을 ‘멈추지 못하는 사람들’이 됐다. 머리 한쪽이 늘 멍한 산만함에서 우리 정신을 지켜 주는 것은 역시 호흡 긴 서사인 책밖에 없다. 우리는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에서 ‘다시, 책으로’ 돌아와야 한다. 지난 10년 동안 책의 대지에 핀 꽃들은 자주 불(不)이라는 이름을 달고 있다. 먼저, ‘정의란 무엇인가’가 사유의 어둠 속에 찬란한 빛..
그래도 도서정가제가 답이다 현행 ‘도서정가제 폐지’를 주장하는 청와대 국민청원이 28일 18만 명 가까이 이르렀다. 청원이 시작된 지 꼭 2주 만이다. 청원인 숫자가 20만 명을 넘으면 어떤 식으로든 청와대는 공식 답변을 해야 하므로 편집자로서 이 과정을 심각히 지켜보는 중이다. 이들의 주장은 네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도서정가제 시행 명분은 ‘동네서점 살리기’였는데, 서점 수는 그사이 오히려 줄었다. 둘째, 신간의 경우 창작자 보호 등을 위해 규제할 수 있으나 구간에도 이를 적용하는 것은 과잉이다. 이 탓에 독서율은 떨어지고, 평균 책값은 올랐다. 셋째, 정가제를 시행하는 외국의 경우 소비자 부담을 더는 장치가 있다. 가령 프랑스는 출간 후 24개월 지난 책을 오프라인 서점에 한해 제한 없이 할인 판매하며, 일본은 싼 가격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