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직(職)/책 세상 소식

‘깜깜이 유통’이 부른 위험한 선택

 

 

최근 ‘교보문고 도매 진출, 어떻게 볼 것인가’라는 좌담회가 열렸다. ‘출판사ㆍ도매상ㆍ지역서점’을 축으로 하는 출판 유통질서 전체를 흔들 만한 사안이라 출판인들의 관심이 무척 컸다. 교보문고의 2019년 매출액은 약 6100억원, 시장점유율 1위다. 온라인서점 1위 예스24의 매출액은 5330억원, 대형체인서점 2위 영풍문고는 1449억원, 도매업체 1위 웅진북센은 1490억원이다. 다른 업체들과 상당한 차이다.

우려부터 정리하자. 교보문고의 도매 진출은 단기적으로 웅진북센 같은 도매업체의 약화를, 장기적으로 시장 독과점 업체의 출현을 가져올 것이다. 이는 출판사엔 서적 공급률 인하 압력으로, 서점엔 도매상 몰락 이후의 경영 압박으로, 독자에겐 책 가격 상승으로 이어진다.

교보문고가 도매 진출을 모색하고 있다.


문제는 교보문고의 도매 진출이 한국서점조합연합회(서련)의 제안으로 시작됐다는 점이다. 서련은 중소서점 연합체 성격이 강하다. 도매업체가 제대로 기능을 못 하면서 도서관 납품 등에서 어려움이 생기자 언 발에 오줌을 눈 셈이다. 위협적 경쟁업체에서 도서를 공급받으면서 사실상 ‘지연된 자살’에 이르게 된 사정이 안타깝다.

‘2018 한국서점편람’에 따르면 2017년 기준 전국 서점 숫자는 2050곳이다. 10년 전과 대비해 36.9%나 감소했다. 그러나 2014년 도서정가제가 강화되면서 지역서점 소생의 숨통이 열렸다. 도서관·학교 같은 공적 기관에서 지역서점 공급을 의무화하는 등 지원책이 마련돼 호흡이 힘차졌다. 개성적 큐레이션과 독자 모임에 중점을 둔 독립서점도 우후죽순 생겨났다. 전국 독립서점 지도를 만드는 퍼니플랜에 따르면 2019년 말 운영 중인 독립서점은 551곳이다. 신규 개점하는 서점이 매주 평균 2016년 1.6곳, 2017년 2.0곳, 2018년 2.6곳, 2019년 3.5곳으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운영 사정은 녹록지 않다. 2019년 매주 독립서점 1곳이 문을 닫았다. 누적 휴폐점률도 15.2%에 이른다. 희망이 박차를 달지 못한 이유는 도서의 불안정 공급 탓이 크다. ‘한국 도서유통의 현황과 문제점 그리고 대안’에 따르면 동네서점은 필요한 책을 적시에, 빠르게, 적정한 가격으로 확보하기 힘들어 독자를 잃어버릴 때 가장 고통을 당한다.

동네서점이 책을 공급받는 곳은 도매업체다. 그러나 2000년대 이후 대형서점 및 온라인서점 중심의 유통질서가 강화되고 출판사ㆍ서점 간 직거래가 활성화하면서 도매는 책을 원활히 공급받지 못하는 등 기능부전에 빠져들었다. 2017년 송인서적 부도는 그 상징이다. 서련은 현재 중소서점이 판매할 수 없는 서적이 30%에 이른다고 주장한다. 그렇다 해서 서점이 실적 출판사 8000곳과 일일이 직거래하는 것은 거래비용 때문에 불가능하다. 서련이 위협적 경쟁자인 교보문고에 적대적 협력을 요청한 이유다.

함정이 있다. 교보문고는 일반 도서 말고 납품 도서에만 관심이 있다. 염불 없이 잿밥을 먹자는 꼴이다. 그런데 기존 도매업체는 아마도 이 부문 없이 유지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찐빵에서 앙꼬를 빼앗기는 일이니 말이다. 일부 서점과 출판사가 ‘궁극적 파멸’을 우려하며 반발하는 것은 당연하다.

서련이 도매 기능을 부정하는 위험한 선택을 한 것은 현재의 도서 유통구조가 한계에 이르렀다는 증거다. 도매든 소매든 서점 위기의 본질은 도서의 실제 판매 현황을 아무도 확인할 수 없는 ‘깜깜이 유통’에 놓여 있다. 초연결시대에 판매 데이터를 제공하지 않는 유통은 사라진다. 저자나 출판사가 도서를 공급하지 않으려 하기 때문이다. 서점 쪽 제안인 거점 물류센터나 공급률 일원화 역시 ‘데이터 투명성’과 함께여야 논의가 가능하다. 이것이 출판의 호미다. 편법은 가래를 불러들일 뿐이다.

=====

서울신문 칼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