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잡문(雜文)

(132)
비트겐슈타인의 오두막 루드비히 비트겐슈타인은 부잣집 막내아들이었다. 비트겐슈타인 집안은 19세기에 양모 교역과 철강 산업에 뛰어들어 막대한 부를 쌓음으로써 합스부르크 제국에서 가장 부유한 가문 중 하나가 되었다. 비트겐슈타인 성에는 요하네스 브람스, 구스타프 말러, 브루노 발터 등이 드나들면서 연주하고, 구스타프 클림트가 누나 마르가레테의 결혼 기념 초상화를 그릴 정도였다. 비트겐슈타인은 이른바 ‘엄친아’였다.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에서 버트런드 러셀에게 철학을 배웠다. 머리가 좋았다. 스승조차도 따라가지 못할 정도였다. 스물아홉 살에 철학사상 가장 유명한 책 중 하나인 『논리철학논고』를 썼다. 이 책은 철학 탐구의 대상을 인간과 세계의 문제에서 언어의 문제로 바꾸어 놓았다. 『논고』에서 비트겐슈타인은 문제를 올바로 보는 법을..
약자의 호소와 권력의 몰락 살려고 일하러 간 일터에서 사람이 죽는다. 광주 현대산업개발 아파트 외벽 붕괴, 양주 삼표산업 골재 채취장 토사 붕괴, 여수 여천NCC 폭발 등 사고가 끊이지 않는다. 안전의식 타령은 그만하자. 위험 감수를 압박하는 현장에서 하루 벌어 하루 사는 말단 노동자의 작업 거부는 어렵다. 아무도 직접 책임지지 않는 현장에 파견된 노동자라면 하소연 자체가 사치다. 그 처지를 모른 체하면 위선자, 못 느끼면 사이코패스다. 그런데도 법은 현장 앞에서 자꾸 멈추고, 정의는 법정에서 자주 반려된다. 태안화력발전소에서 일하다 죽은 비정규직 청년 노동자 김용균 씨 관련 며칠 전 판결도 역시나였다. 원청 대표는 위험을 몰랐다면서 무죄였고, 관련 임직원은 집행유예나 벌금형에 그쳤다. 억울한 죽음에 유가족 한은 쌓여간다. 하소연..
서평이란 서평이란 근본적으로 친절한 행위다. 책을 통해 알게 된 이 세상의 진실과 자기 삶에 대한 성찰을 공유하며, 더 나은 세상에서 더 좋은 삶을 누리자고 소곤소곤 말 건네는 일이다. 세상을 느끼는 감각과 사유를 바꾸지 않고는 비루하기 짝이 없는 이 삶과 잔인하기 그지없는 이 세상을 바꿀 수 없다. 그러기에 인류의 지혜가 온축된 책 이야기를 함께 나눔으로써 우리의 공통 감각(common sense)을 혁신하고 우리가 생각하는 틀을 달리하고자 하는 것이다. 좋은 서평은 또 하나의 작품으로 읽는 사람을 변화시킨다. 여섯 달 동안 수많은 서평을 읽으면서 새삼스레 이 사실을 깨달았다. 마음에 와 닿는 좋은 서평이 많았고, 읽으면서 내 안에서 끝없이 변화가 일어났다. 행복한 경험이었다. ===== 이렇답니다. 서평 프로..
독서, 고독한 싸움 우리가 그 책에 다가가는 도중에 아무리 꼬불꼬불 구부러지고 빈둥빈둥하고 우물쭈물하고 어슬렁어슬렁하더라도 최후에는 고독한 싸움이 우리를 기다리고 있다. _버지니아 울프
경기, 인간 최고의 발명 경기를 고대 그리스어로 아곤(Agon)이라 한다. 인류학자 로제 카유와의 ‘놀이와 인간’(문예출판사)에 따르면 아곤은 속도, 힘, 기억력 등 인간 자질의 우월을 놓고 기량을 겨루는 경쟁 형태의 놀이다. 아곤의 승자는 그 자질에서 ‘최고의 인간’이라는 영예를 얻는다. 현실 권력이 뒤집히는 쾌감을 준다는 데 아곤의 매력이 있다. 지위가 높거나 혈통이 좋거나 돈이 많아도 엄청난 노력 없이 아곤에서 승리할 수는 없다. 이것이 아곤, 즉 경기의 첫 번째 매력이다. 경기는 현실의 위계나 질서가 적용되지 않는 시공간에서, 극도로 단련된 기량 없이 충족할 수 없는 규칙에 따라, 그 과정과 결과가 미리 정해지지 않은 채 수행된다. 현실 권력이 개입하는 위반 행위는 경기 자체를 파괴한다. 그래서 모든 경기 단체는 승부 조..
폭염, 소리 없는 살인자 폭염은 하루 중 낮 최고 기온이 33℃ 이상일 때를 말한다. 폭염은 모든 기상 재해 중 사람을 가장 많이 죽인다. 행정안전부의 ‘2019 재해연보’에 따르면 2018~2019년 자연재해 사망자는 폭염 78명, 태풍 21명, 호우 2명이었다. 1994년엔 폭염으로 3384명이 사망해 지난 100년간 단일 기상 재해 중 가장 큰 인명 피해를 가져왔다. 폭염을 ‘소리 없는 살인자’라고 부르는 이유다. 폭염은 태풍이나 호우와 달리 피해 상황이 눈에 보이지 않고, 피해자 대부분이 노인, 1인 가구, 빈곤층이어서 관심을 끌지 못한다. 우리나라 폭염 관련 사망자 중 65%는 60세 이상 고령자이고, 나쁜 주거 환경, 낮은 소득 등 취약층 사망 위험도가 다른 계층보다 19.4%포인트 높다. 이는 『폭염 사회』에서 클라..
아테네, 비극의 도시 - 문학과 도시 (1) 인간 존재는 ‘죽다, 넘어서다, 모여 살다’ 셋으로 압축된다. 길어야 100년, 인간의 삶에는 끝이 있다. 영원을 누리는 신과 달리, 태어나자마자 우리의 물리적 생명은 시간의 침습을 받아 죽음을 향해 간다. 유한성은 인간을 비롯한 모든 생물의 특징이다. 그러나 인간은 패배자가 아니다. 끝이 있음을 알기에, 인간은 보이지 않는 것을 머릿속에서 보는 힘을 익혔다. 꿈꾸고 상상하면서 한 걸음 더, 주어진 운명에 굴복하지 않는 역량은 우리를 독특하게 한다. 넘어서는 힘은 인간을 창조자로 만든다. 먹지 못할 것을 먹게 하고, 살지 못할 곳에서 살게 하고, 죽을 때를 생명의 시간으로 바꾸어 준다. 인간은 홀로 넘지 못한다. 영웅 숭배는 역설이다. 재앙을 혼자 힘으로 돌파하는 인간의 희소를 상징한다. 인간은 모여 있..
재난의 사고법 ― 『2021 한국의 논점』(북바이북, 2020) 서문 올해는 한국전쟁 70주년이었다. 전쟁 이후, 대한민국 현대사를 이렇게 요약할 수 있을까. 처음 30년 동안은 혁명과 반동의 시대였다. 4.19혁명과 5.16 군사 쿠데타, 김대중・김영삼의 선거 돌풍과 유신 반동, 서울의 봄과 신군부의 쿠테타……. 1980년 5.18민주화운동의 역사적 의의는 여기에 있다. 이 사악한 되먹임 고리를 끊는 방아쇠 역할을 했다는 점이다. 1980년대 10년의 민주화 운동 기간을 거치고, 1989년 소비에트 붕괴 이후, 한국사회는 정치적으로는 민주주의가, 경제적으로는 ‘자본주의’가 지배하는 ‘정상’ 국가로 진입한 듯했다. 그다음 30년은 ‘재난과 복구의 시대’였다. 1997년에는 국가 부도 사태가 일어나고, 2008년에는 금융 위기가 있었다. 소수의 부유층과 권력층에게는 샴페인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