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960)
‘될 만한 책’이라는 사고방식을 넘어서 《기획회의》 여는 글로 쓴 글입니다. 출판 현장의 여러 선후배들과 이야기하다 보면 ‘될 만한 책, 어디 없어?’라는 말을 자연스럽게 입에 올립니다. ‘한 방’이라고 바꾸어도 좋을 겁니다. 저는 항상 이 말이 어떤 역사적 조건에서 이 같은 자연스러움을 얻었을까를 고민하곤 했습니다. 잘 팔리는 책을 기획하는 것은 물론 출판 사업의 핵심이지만, ‘될 만한 책’이 사업 운영의 중심에 서는 출판은 적어도 직원들과는 함께 오래 갈 수 없습니다. 회사의 장기적 가치가 생성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른바 괜찮은 출판사의 연매출이 소기업 수준에 대부분 머무르는 이유도 출판사업의 기본 구조가 이 말을 중심으로 세워져 있기 때문이 아닐까도 생각해 봅니다. 얼마전 SBI 학생들이 출판계에 입문하기 위한 발표회가 있었습니다. 이..
출판의 기적은 매일매일 일어난다 ― 미시마 구니히로의 『좌충우돌 출판사 분투기』(윤희연 옮김, 갈라파고스, 2016)를 읽다 출판의 기적은 매일매일 일어난다― 미시마 구니히로, 『좌충우돌 출판사 분투기』(윤희연 옮김, 갈라파고스, 2016)를 읽다 편집자의 생명줄은 두 가지다. 하나는 데이터 또는 경험, 또 하나는 영감이다. 회사를 다니면서 뼈저리게 느낀 게 있다. 데이터는 조사로 만들 수 있고, 경험은 일해서 축적할 수 있지만, 영감이 바닥을 치면 끝이라는 것이다. 소진과 고갈의 허탈과 지루를 견뎌낼 만큼의 뻔뻔함이 있다면 아마도 이 일을 시작하지 못했을 터이다. 하루하루를 무의미와 멍 때림으로 흘려보내기에는 의미의 집적체인 책이 쏟아내는 아우라를 도저히 견디기 힘들다. 미시마샤의 사장 미시마 구니히로도 그랬다. “‘뭘 위해서’ 하는지 잘 모르겠는 일을 다음 날도 그다음 날도 소화해 내는 와중에, 감각이 마비”되어 “생각해야..
《리터》 2호를 읽다 1《리터》 2호를 읽다. 특집은 ‘페미니즘’이다. 격월간이라는 발행 간격을 의식해서 움직이는 느낌. 첫 호에서도 그랬지만 이미 화제가 된 이슈를 통해 시대에 응전하는, 이런 표현이 가능하다면 ‘사후적 아방가르드’의 편집론. 특집에 실린 글이 사태의 정리에 무게를 주로 담은 ‘리뷰’에 가까운 건 아마도 이 때문이 아닐까. 소설가 김혜진이 쓴 김명순 약전이 무척 흥미로웠다. 한국문학을 공부했지만, 나는 김명순의 글을 읽은 적이 없다. 어쩌면 이 사실이 한국 여성의 근대사를 드러내는 것은 아닐까. 따로 김명순의 소설과 수필을 챙겨서 읽어볼 결심을 했다. 2문학상에 대한 장강명의 산문을 아주 흥미롭게 읽는 중. 거침없이 말하는 법을 익힌 사람은 언제나 사랑스러운 것이니까. 3이응준의 문장에는 숨 막히는 데가 있..
미국 출판사 직원들 연봉은 얼마나 될까? 2015년 미국 출판사 직원들의 연봉 관련 조사 자료가 나왔습니다. 출판 전문지인 《퍼블리셔스 위클리》에 공개되었네요. 종이책 경기가 다소 회복된 덕분인지, 2014년에 비해 전체적으로 조금 올랐습니다. 국내에서도 이런 자료를 해마다 종합해서 만들면 좋을 듯해서 참고 자료로 주요 부분을 번역해서 올려둡니다. 2015년 미국 출판사 중간 연봉은 66,038달러(약 7,367만 원)으로 2014년 65,000달러에 비해서 2.8% 올랐습니다. 양국 출판산업의 생산성 등을 고려하지 않고 단순비교 하면 안 되지만, 미국의 1인당 국민소득이 2016년 기준으로 57,220달러로 한국의 20,990달러에 비해 약 2.73배 높은 것에 비례해 보면 약 2,699만 원 정도 되네요. 《퍼블리셔스 위클리》는 임금 동결 ..
[시골마을에서 논어를 읽다 17] 호학(好學) _ 배우기를 좋아하다 5-28 공자가 말했다. “열 가구 정도의 작은 마을에도 반드시 나처럼 충성스럽고 신의 있는 사람이 거기 있겠지만, 나만큼 배우기를 좋아하는 사람은 없으리라.” 子曰, 十室之邑, 必有忠信如丘者焉, 不如丘之好學也. 이 장에 대하여 주희는 아름다운 자질은 얻기 쉬우나 지극한 도는 듣기 어려우므로, 배움이 지극하면 곧 성인이 될 수 있고 배우지 않으면 시골뜨기에 한낱 머무를 뿐이므로 사람은 배움에 힘써야 한다고 말했다. 정약용은 이는 공자가 자신을 자랑하려는 게 아니라 배움을 좋아하는 것이 고귀한 일임을 설명한 뜻이라고 했다. 『논어』 전체에 걸쳐 충(忠)과 신(信)은 군자가 되려는 이들이 반드시 힘써야 하는 덕목으로 칭송된다. 사람됨이 충성스럽고 미덥기만 해도 이미 훌륭한 성품이일 것이다. 그러나 이들은 인..
[시골마을에서 논어를 읽다 16] 내자송(內自訟) _안으로 자신과 소송하다 5-27 공자가 말했다. “끝이로구나! 자기 잘못을 알아서 안으로 자신과 소송하는 사람을 나는 아직 보지 못했다.” 子曰, 已矣乎! 吾未見能見其過而內自訟者也. 공자가 언제 이 말을 했는지는 알 수 없다. 아마도 말년일 것이다. 주희는 내자송(內自訟)을 입으로 말하지 않더라도 마음에서 스스로 허물하는 것이라고 했다. 이 말은 과즉물탄개(過則勿憚改), 즉 ‘잘못하면 고치기를 거리끼지 않는다’는 「학이」 편의 말과 맥락이 닿아 있다. 잘못을 순순히 시인하면서 입에 붙이는 것보다 내면의 법정에 세워서 양심을 따라 따져 묻는 일이 더 뉘우침이 간절할 것이다. 따라서 안으로 자신과 소송하는 자는 잘못을 반드시 고칠 뿐만 아니라 다시는 그런 잘못을 저지르지 않을 가망이 높다. 주희의 학설이다.리쩌허우는 내자송을 증자..
저자와 독자 사이에서 누가 일하는가? _ 책을 만들고 팔고 추천하는 사람들 저자는 쓰고 독자는 읽는다. 출판은 저자와 독자, 쓰기와 읽기를 연결하는 사업이다. 책을 쓰는 것은 저자이지만, 책이 독자 손에 전달될 때까지는 많은 사람들이 노고를 보탠다. 저자와 독자 사이에 도대체 누가 존재하고, 그들은 어떤 일을 하는가? 최근 온라인 매거진 버슬의 맬리사 랙스데일이 기사로 정리했기에, 여기에 옮겨둔다. (1) 첫 번째 독자들 ― 책을 쓰고 나면 저자들은 에이전트나 편집자에게 보내기 전에 첫 번째 독자들한테 읽힌다. 주로 가족이나 친구나 동료 작가들이다. 그들의 너그러움과 격려가 없었다면 아마도 많은 책이 세상에 나오지 못했을 것이다.(2) 에이전트 ― 한국에는 흔하지 않지만, 미국의 경우에는 출판사 등을 상대로 해서 저자의 권리를 대변해 주는 에이전트 제도가 활성화되어 있다. 원고..
재미있는 북마케팅 해외사례 (1) _ 책 표지를 애니메이션으로 책의 발견성을 어떻게 높일 것인가는 전 세계 출판계 모두의 관심사다. 하지만 막상 이 문제를 본격적으로 해결하려고 하면 개별 출판사로서는 대단히 어려운 문제로 바뀐다.하지만 아주 작은 아이디어만으로 소셜미디어에서 책의 발견성을 끌어올린 사례들이 많이 있다.조금만 노력을 더해서 독자들 눈길을 끄는 WOW 콘텐츠를 만드는 것이다. 위에 소개한 사례는 미국의 문학 전문 출판사 FSG에서 2014년에 시도해서 독자들의 많은 호응을 얻은 것이다.제프 밴더미어라는 소설가의 3부작 소설을 출판할 때표지를 GIF 애니메이션으로 만들었다. 종이책 표지로도 상당히 아름답지만, 온라인 환경에서 독자들의 눈길을 끄는 WOW 콘텐츠를 만들기 위해출판사가 무엇을, 어떻게 고민해야 하는지를 보여 주는 좋은 예다. 책의 발견이 곧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