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잡문(雜文)/읽기에 대하여

한국의 성인 언어 능력,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하락하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국제성인역량조사(PIAAC) 2주기 결과 발표에 따르면, 우리나라 성인(16~65세)의 언어능력 평균점수가 OECD 평균보다 낮았으며, 이것은 10년 전 시행한 1주기 언어능력 평균에 비해 24점 하락한 결과.

지난 1주기(2013년) 때 중위권이었던 한국의 성취도가 이번 조사(2023년)에선 하위권으로 떨어졌고, 그 추락 속도는 참여국 중 가장 최악이었다.

세대별 성취도 변화를 비교해보면 충격은 더 커진다. 한국의 경우 청년층(1989~1995년생)의 성취도는 1주기에 비해 19점 낮아진 반면, 중고령층(1958~1968년생)의 성취도는 42점이나 하락했다.

이번 조사에서 가장 성취도가 높았던 핀란드의 경우 청년층은 30점이나 상승한 반면, 중고령층의 하락폭은 14점에 그쳤다.

가장 심각한 문제는 수준1 이하 집단의 비율이다. 이들은 언어능력이 가장 낮은 위기 집단으로서, 단순하고 짧은 문장 정도를 이해할 수 있거나 그것마저 어려울 정도의 낮은 언어능력을 가지고 있다.

국가별로 비교하면, 수준1 이하 집단의 비율이 OECD 평균 26%이며 핀란드가 11%인 반면, 한국은 31%나 된다. 말하자면 대략 전 국민의 3분의 1이 언어능력 위기집단인 셈이다.

문제는 이들 상당수가 소득과 연령별로 편향적으로 분포되어 있으며, 특히 55세 이상의 중고령층에 다수 분포되어 있다는 점이다.

물론, 인간의 지적 능력은 30~40대를 넘어가면서 자연적으로 하락하며, 아무런 보정을 하지 않는다면 언어능력 역시 자연스럽게 쇠퇴할 수밖에 없다.

OECD 여러 나라에서 우리만큼의 급속한 하락을 경험하지 않는 이유는 그만큼 노화를 지연시킬 수 있도록 열심히 재학습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하기 때문이다.

평생학습참여율 조사에 따르면 한국인의 평생학습 참여율은 겨우 32% 정도에 불과하지만 핀란드, 스웨덴, 네덜란드 등은 그 두 배에 달한다. 말하자면 전체 성인의 3분의 2 이상이 열심히 학습에 참여하는 것이다.

한국의 평생학습참여율을 지금보다 두 배 이상 올리지 않는다면 한국 성인인구의 노동력/시민력의 심각한 하락세를 피할 수 없을 것이다.

이번 2주기 조사 성취도가 참여국 전체에서 하락세를 보이는 이유는 유튜브, 틱톡, 쇼트폼 등 동영상 플랫폼의 만연과 무관하지 않다. 이런 현상은 특히 한국에서 더욱 심각하다.

한국인의 유튜브 시청 시간은 월평균 40시간을 넘고 있으며, 지난 5년간 약 2배 이상 증가했다. 게다가 50대 이상 중고령층은 유튜브를 통해 주로 뉴스/시사 프로그램을 소비한다.

_ 경향신문 한숭희(서울대 교육학과) 칼럼 중에서

=====

이렇답니다.

유튜브를 꼭 집어 말했으나,

소셜미디어 전체, 나아가선 인터넷 전체와 관련있다.

경박단소 콘텐츠에 중독된 인간,

그러니까 긴 글을 읽지 않는 인간,

전체를 알 수 있는 서사나 체계와 함께

지식/정보를 학습하지 않는 인간은

문해력 저하를 피할 수 없다.

 

'잡문(雜文) > 읽기에 대하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독자를 어떻게 독자로 만들까?  (0) 2025.02.04
읽는 문화에 대한 단상  (3) 2024.02.29
책을 읽으면 머리가 좋아질까  (0) 2022.07.16
비독서 시대  (0) 2022.07.03
글쓰기는 우리를 바꾼다  (0) 2022.0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