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와 열정/감각 공부

스킨십 문화의 차이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피터 앤더슨 미국 샌디에이고 주립대학교 교수의 연구에 따르면, 공항 등 공공장소에서 성적 표현 같은 스킨십을 드러내는 방식의 차이를 보여주는 요인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다.

첫 번째 요인은 기온이다. 아랍, 중앙아메리카, 남아메리카, 지중에, 남유럽, 동유럽 등에서 온 사람들은 스킨십을 아끼지 않았다. 반면, 추운 지방에서 온 사람들일수록 신체 접촉을 자제했다.

춥고 척박한 겨울에 살아남기 위해서는 계획이 필요했으므로, 추운 지방 사람들은 좀 더 신중하게 행동할 수밖에 없었다. 추운 기후 덕분에 능동적이고 생산적으로 움직였으나, 전반적으로 냉정한 성격을 띠게 된 것이다.

반면에 따뜻한 지역에선 느긋하고 개방적인 문화가 발달했다. 항상 살이 드러나는 옷을 입었으므로, 스킨십은 상대적으로 자연스러웠다. 

두 번째 요인은 문화이다. 한국, 일본, 인도 등 다양한 지역 사람들이 날씨와 관계없이 스킨십을 자제했다. 집단주의 문화 때문이다. “집단을 중시하는 문화에서는 신체 접촉을 원하는 개인 충동이 이를 부적절하고 예의 없다고 생각하는 집단의 의견을 따르게 마련이다. 집단의 화합을 지키려면 개인 충동을 조절해야 한다는 규범을 공유하기 때문이다.”

아시아에 집단주의가 흔한 이유는 오랫동안 단절 없이 이어져 온 문화 전통 때문에 예의와 격식에 관한 무언의 규범이 뿌리 내려서이다. 공공 장소에서 신체 접촉을 자제하는 것은 개인 간 친밀감보다 집단 전체의 평안을 강조하는 한 방법이다. 오랫동안 평화를 유지한 비결도 어쩌면 여기에 원인이 있는지도 모른다. 

물론, 이러한 대략적 차이가 개인 간 차이를 없애 주는 건 아니다. 어떤 문화도 획일적이지 않다.  

 

 

 

 

 

 

 

반응형

'공부와 열정 > 감각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부 감각  (0) 2024.07.06
근대 사회와 감각의 대전환  (0) 2024.06.15
악수의 역사  (1) 2024.0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