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평론과 서평/절각획선(切角劃線)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32번(파우스트 박사)

베토벤의 비서가 피아노 소나타 32번의 3악장을 쓰지 않은 연유를 물었다. 작곡가는 시간 여유가 없어 아예 2악장을 좀 길게 늘여 작곡했다고 태연하게 답했다.

시간 여유가 없다니! 게다가 ‘태연하게’라는 말까지! 그런 식의 답변은 거의 경멸에 해당하는 게 아닐까…….

강사는 1820년경 작곡가 처지를 일러주었다. 당시 베토벤의 청력은 손쓸 수 없는 소모성 질환 탓에 이미 제 기능을 상실했고, 자기 곡을 지휘하는 것조차 불가능해졌다는 게 정설이라 말했다. 32번 소나타는 갖가지 리듬이 대비되며 펼쳐지는 온갖 운명과 고된 세계를 헤치고 나아가, 2악장 주제가 점차 확대되어 마침내 경지를 벗어나 서 종국엔 피안 혹은 추상 세계라 할 만한 아득한 높이로 소멸되어 간다고 간주했다.

소나타를 직접 들어 보면 어떤 연유로 3악장이 없는지 그 의문이 저절로 해소된다는 것이다. 2악장에서 그렇게 이별을 고한 다음 어떻게 다시 3악장을 계속 이어갈 수 있겠느냐고……. 소나타라는 양식 자체가 이 곡에서 끝을 보았고 자신의 소명을 다했고 어떠한 목적지에 다다른 것이다.

― 토마스 만, 『파우스트 박사』 중에서


Beethoven: Piano Sonata No. 32 in C Minor, Op.111 I. Maestoso - Allegro con brio ed appassionato (Start 00:00 ) II. Arietta. Adagio molto semplice e cantabile (Start 08:24 ) Piano: Wilhelm Backhaus Recorded: 30 July 1966, Saltzburg Festpielen Live.

 

'평론과 서평 > 절각획선(切角劃線)'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자(識者), 공부하는 인간의 탄생  (0) 2025.02.04
공부에 대하여  (0) 2025.02.04
인문주의란 무엇인가  (0) 2024.08.10
이합체에 대하여  (3) 2024.07.06
음악, 인간 감성의 아카이브  (0) 2024.0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