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평론과 서평/책 읽기

[문화일보 서평] 왜 어떤 일은 기억하고 어떤 일은 쉽게 잊을까 _다우어 드라이스마의 망각



“아무리 지난 기억을 뒤져봐도 ‘우국’을 읽은 기억은 나지 않지만, 이제는 나도 내 기억을 믿을 수 없는 상황이 됐다.” 표절 사건이 일어난 후, 소설가 신경숙이 그 일을 사실상 시인하는 인터뷰에서 한 말이다. 이 표현의 모호함 탓에 대중의 더 많은 비난을 받았다. 하지만 이런 일은, 이상해 보일지 몰라도, 일상에서 무척 자주 일어난다.

1970년 영국에서 유사한 표절사건이 벌어졌다. 고발된 사람은 조지 해리슨. 비틀즈의 멤버다. 그가 솔로로 발표한 곡 「나의 자비로운 신(My Sweet Lord)」이 여성 그룹 치폰스의 히트곡 「그 사람은 너무 멋있어(He’s so fine)」를 표절했다는 것이다. 두 곡은 멜로디가 아주 비슷했다. 「그 사람은 너무 멋있어」를 반주로 틀어놓고 「나의 자비로운 신」을 불러도 전혀 어색하지 않을 정도였다. 

신경숙과 마찬가지로 해리슨 역시 크게 반발했다. 기나긴 법정 소송이 벌어졌고, 5년이 지나서야 판결이 나왔다. 해리슨이 자신의 무의식적 기억에 있는 것을 의도치 않게 베낀 것 같다는 내용이었다. “자신의 기억을 믿을 수 없는” 이 사건 탓에 해리슨은 좌절에 빠졌다. 배상금만 50만 달러에 이르렀지만, 돈이 아니라 마음의 상처가 문제였다. 자존심이 상할 대로 상한 해리슨은 20년이 지난 후 기어이 「그 사람은 너무 멋있어」의 판권을 사들여 논란거리를 없애버렸다. 예술가의 찢어진 자존감은 그만큼 오랫동안 그를 괴롭혔던 것이다.

다우어 드라이스마 교수의 신작 『망각』에 나오는 이 에피소드는 기억에 대한 것이면서 동시에 망각에 대한 것이다. 저자는 『나이 들수록 왜 시간은 빨리 흐르는가』 등 기억을 소재로 삼은 일련의 저작들로 국내 독자에게도 이미 잘 알려져 있다. 이 책에서 저자는 기억의 쌍생아인 ‘망각’을 다룬다. 왜 인간이 어떤 일은 기억하고, 어떤 일은 망각하는지는 아직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신경숙이나 해리슨의 경우에서 보듯이, 기억과 망각은 서로 붙어 다닌다. “다른 사람으로부터 듣거나 그의 글을 읽었는데, 내 머릿속에 떠오른 그와 똑같은 생각이 다른 사람에게서 나왔다는 사실을 잊어버리는 현상”을 “잠복기억”이라고 한다. “잠복기억”은 말 그대로 “잊어버린 기억”이다. 기억과 망각이 동시에 일어나는 이 현상은 사실 우리 주변에서 흔한 일에 속한다. 브레인스토밍 회의를 하다 보면, 지난번 다른 사람이 발표했던 것을 자신의 아이디어인 것처럼 열을 올리는 사람을 보곤 하니까 말이다.

잠복기억은 고장 난 기억이 전혀 아니다. 오히려 잠복기억은 인류 진화의 강력한 증거이다. 책에서 밝혔듯이, 문제에 직면하면 해결책을 누가 발견했는지를 기억하는 것은 생존하는 데 필수가 아니다. 하지만 그 해결책이 무엇인지 기억하는 것은 생존에 정말 중요하다. 이 때문에 우리는 기억과 망각을 동시에 수행하는 기이한 인생을 당연히 살아가는 것이다. 물론 신경숙이나 해리슨이 처음부터 인류가 진화 과정에서 획득한 또 다른 능력도 발휘했으면 정말 좋았을 것이다. 잘 사과하는 능력 말이다.

‘잠복기억’ 문제를 비롯해 이 책은 망각과 관련된 수많은 문제를 집약하고 있다. 예를 들면, 아기 시절은 왜 좀처럼 기억나지 않을까, 꿈을 기억하는 것은 왜 그토록 어려울까, 기억상실에 걸리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심리적 억압은 정말로 우리가 겪은 끔찍한 일을 잊어버리게 만들까, 우리가 보고 듣고 느낀 모든 일은 사라지지 않고 뇌 속 어딘가에 하나도 빠짐없이 모두 저장되어 있지는 않을까 등 탄생에서 죽음에 이르기까지 우리가 겪을 수 있는 온갖 망각 현상들을 각종 실험에 흥미로운 일화를 더해 가면서 훌륭한 솜씨로 풀어나간다.

가장 중요한 것은 ‘자서전적 기억’이다. 우리는 모두 최초의 기억을 가지고 있다. 대부분 서너 살 때 기억이지만, 어떤 이는 그보다 빠를 수 있고, 어떤 이는 늦을 수 있다. 이 기억은 정말 우리가 겪은 일일까, 혹시 누군가 들려준 이야기이거나 우리가 안타까움에서 조작한 것은 아닐까. 저자는 “기억은 체험의 반복이 아니라 재구성”이라고 말한다. 무엇은 망각하고 무엇은 기억하면서 우리는 우리 자신을 만들어간다. 최초의 기억을 떠올려보면, 누구나 그 전후로 놓인 거대한 공백 때문에 깜짝 놀랄 것이다. 이처럼 삭제와 배제와 선택을 통해 체험은 서로 엮이면서 하나의 의미 있는 이야기로 만들어진다. 이 이야기는 심지어 고정되지도 않아서, 지금 이 순간의 삶에 따라 끊임없이 수정되고 재창조된다. 따라서 우리가 기억하고 망각하는 것은 곧 우리 자신이 누구인지를 알려준다. 

말년의 칸트는 치매에 시달리면서 가장 가까운 사람조차 알아보지 못했다. 한 이야기를 되풀이하지 않으려고 그는 친구와 나눈 이야기를 빠짐없이 메모했다. 죽음에 이를 때까지 자기 삶을 온전히 장악하기 위해 그가 벌인 노력은 필사적이었다. 하지만 발병한 지 두 해도 지나지 않아 치매는 이성의 철학자를 완전히 지워버렸고, 『순수이성비판』의 미완성 문장은 끝내 철학을 몰랐던 누이의 손에 넘어갔다. 다가오는 망각의 공포 속에서 자신을 지키고자 몸부림치는 노철학자의 분투는 마음에 감동을 불러일으킨다. 노력이 그를 망각으로부터 지켜주지 못했지만, 우리에게 중요한 교훈을 남겼다. “기억을 가꿀 때 중요한 것은 결과가 아니라 사랑과 기억하고자 쏟는 헌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