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평론과 서평/책 읽기

《리터》 2호를 읽다



1

《리터》 2호를 읽다. 특집은 ‘페미니즘’이다. 격월간이라는 발행 간격을 의식해서 움직이는 느낌. 첫 호에서도 그랬지만 이미 화제가 된 이슈를 통해 시대에 응전하는, 이런 표현이 가능하다면 ‘사후적 아방가르드’의 편집론. 특집에 실린 글이 사태의 정리에 무게를 주로 담은 ‘리뷰’에 가까운 건 아마도 이 때문이 아닐까. 소설가 김혜진이 쓴 김명순 약전이 무척 흥미로웠다. 한국문학을 공부했지만, 나는 김명순의 글을 읽은 적이 없다. 어쩌면 이 사실이 한국 여성의 근대사를 드러내는 것은 아닐까. 따로 김명순의 소설과 수필을 챙겨서 읽어볼 결심을 했다.


2

문학상에 대한 장강명의 산문을 아주 흥미롭게 읽는 중. 거침없이 말하는 법을 익힌 사람은 언제나 사랑스러운 것이니까. 


3

이응준의 문장에는 숨 막히는 데가 있다. 여전히 어둡지만 슬픔을 정직하게 전달하고, 울음을 끌어안아 삭이는 길을 경험하도록 해 준다. “토토는 그간 내가...... 잊고 있던 죽음에 대한 감각을 되찾아 주었다. 세상 모든 사건과 사물 들이 모조리 새삼스럽다. ...... 사랑하는 이의 죽음은 보석이다. 하지만 나는 이 보석이 너무 아프다.” 어머니라는 육친의 죽음과 반려 동물 토토의 죽음을 이어서 이야기하면서 이응준은 우리가 일상으로 겪는 거센 상실에 대해, 그 상실이 가져오는 사유를 떠올리도록 만든다. 


4

정세랑이 한 황인찬 인터뷰에서 가장 즐거웠던 말. “충돌과 불편은 놀라운 말이나, 그로테스트하고 충격적인 이미지로 만들어 내는 게 아니에요. 그보다는 사람 머릿속을 어떻게 만드느냐의 문제지요. 이질감으로 움직이게 하는 거요.” 말해야 할 진리나 익혀야 할 기법이 아니라 효과에 대해 생각하는 시인은 언어를 움직일 수 있다. 


리터에 실린 배우 김새벽 초상


5

김새벽. 나는 이 배우를 이 잡지에서 처음 봤다. 영화는 거의 보지 않으니까. 잡지에 실린 인터뷰를 읽고 이 배우의 영화를 볼까, 하는 기분이 들었다. 이런 말을 하는 사람은 배우로서 틀림없이 믿을 수 있다. “도서관에서 빌려 읽어요. (중략) 저는 무엇을 꼭 소유하려는 마음이 별로 없고, 사람들의 흔적을 보는 게 좋거든요. 도서관의 책은 여러 사람이 읽잖아요? 누구랑 만난 것 같고, 좋았던 순간들이 있어요. 펼쳤는데 꽃이 말라 있거나 할 때에도 좋고, 도서 검색할 때 쓰는 종이가 끼워져 있을 때에도 나와 같은 책을 읽은 사람의 도서 목록을 보는 것 같아서 좋아요. 한번은 여행 책을 빌렸는데 안에 비행기 티켓이 들어 있었어요. 이 사람은 여행을 잘 갔다 왔으니까 무사히 반납을 했겠지? 이름도 있으니까 상상해 보고. 그런 걸 보는 게 책 읽는 것보다 열 배는 좋아요.” 책에서 인간을 상상하는 사람이 배우가 아니라면 어느 누가 배우가 되랴.


6

이장욱의 「에이프릴 마치의 사랑」은 현대의 일상을 구성하는 상품들의 기나긴 목록으로 시작한다. 원두를 갈아서 핸드드립으로 내려먹는 커피처럼, 무슨 의미라도 있는 것처럼 정교한 의식을 치르지만 우리를 전혀 무의미로부터 구원하지 못하는. 슈만의 환상소곡집, 카누, 피자, 편의점 샐러드 팩, 마커스 밀러의 음악……. 요컨대 너무나 상투적 인생. 블로그나 페이스북 같은 소셜미디어 활동도 마찬가지다. 소설의 화자는 말한다. “무료하고 가난하고 외로울 때 인간은 무료하고 가난하고 외로운 일을 하는 법이다. 좋아요 수가 늘어나고 팔로워 수가 늘어나는 것이 우리 삶을 보증해 줄 리 없건만, 또 그것이 아니라면 다른 무엇이 우리의 빈곤한 삶에 의미를 부여해 줄 것인가?” 

화자는 김강준. 어찌어찌 등단은 했지만 청탁조차 드문드문한 무명 시인이다. 어느 날 그는 셀프검색을 하다 ‘에이프릴 마치의 사랑’이라는 블로그에서 자신의 시를 발견한다. 영혼의 반쪽이라도 찾은 기분이 든 그는 블로그에 올라온 글을 모조리 읽으면서 그 글을 올린 블로거 에이프릴마치를 추적한다. 에이프릴마치는 너무너무 전형적인 현대적 조울증에 시달리는 신경증 환자. 무료하고 나른한 하루를 이기지 못하지만 우아한 포즈로 일상의 윤곽이 어그러지지 않을 정도의 사소한 위반만을 보고하는 멜랑콜리 중독자. 

김강준이 메일을 보낸 것을 계기로 해서 에이프릴마치는 문예지에 발표한 그의 시를 하나씩 블로그에 올린다. 처음에는 원문 그대로 올라왔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서서히 조사가 바뀌고 문장이 변하고 행갈이가 달라지는 사소한 변화가 생긴다. 그러다 마침내 김강준 자신이 쓰지도 않은 시가 블로그에 올라오는데, 김강준이 그 시를 가져다가 발표하면서 평단의 호평을 얻어 청탁이 밀려들기 시작한다. 그러던 어느 순간 블로그에 올라오는 시가 띄엄띄엄 줄어든다. 청탁을 받아둔 김강준이 초조한 마음에 재촉의 메일을 보내자 이별 선언과 함께 모든 관계가 뚝 끊어지고 마침내 블로그마저 사라진다. 에이프릴마치가 누구인지는 끝내 밝혀지지 않는다. 어쩌면 김강준 본인일 수도 있다. 이 작품은 현실과 가상을 넘나드는 현대적 삶의 상황에 대한 압축이자, 원본과 복제본이라는 위계의 붕괴가 일상화된 현대 예술의 상태에 대한 성찰이 담긴 소설이다. 흥미를 끌었다.


Related Contents

잡지가 죽었다고? 고품질 소규모 독립잡지는 순항 중

‘독립출판잡지’에 대하여

Magazine의 시대는 가고, Zine의 시대가 오다

매거진 지는 자리에 `취향저격` 독립잡지 뜬다(이데일리)

《리터》 2호를 읽다.

편집일은 좋아도 출판사는 싫은 당신에게 _생활인문잡지 《WAY》 창간호를 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