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예술

(7)
돌이 눈뜨는 시간을 찾아서 _ 문학은 죽음을 견디는 것이다 《중앙선데이》 칼럼, 이번에는 설악산에 가족 여행을 했을 때 느꼈던 바를 하이데거, 엘리엇, 릴케의 시를 읽으면서 곱씹어 보았습니다. 속초는 ‘신이 깃든’ 땅이다. 설악이 있고, 동해가 있다. 머무르는 것과 움직이는 것이 동시에 이 도시에서는 ‘영원성’을 얻는다. 아내와 나, 딸과 아들, 네 식구가 틈을 얻어, 산의 울림을 품었다 바다의 소리를 들었다. 스무 살, 홀로 또는 친구와 온 곳을, 서른 해 건너, 같은 나이 아이들과 함께, 아내의 손을 쥐고 걷는다. 하이데거는 말한다. 숲은 고요히 쉰다./ 계곡물은 쏟아진다./ 절벽은 영구하다./ 비는 똑똑 듣는다.// 밭은 기다린다./ 샘물은 솟는다./ 바람은 거주한다./ 축복은 곰곰 생각한다. 여기에 여덟 줄로 응축된 만물이 있다. 숲은 고요하고 물은 움직..
[21세기 고전] 그래도 사랑은 계속될 것이다 ※ 《경향신문》에 연재 중인 ‘21세기 고전’. 이번애는 이현수의 『신기생뎐』을 다루었습니다. 역사의 밀물에 떠밀리고 있는 근현대사의 잊힌 삶들에 주목하는 이 작가의 성취는 아주 높습니다. 언어의 세밀화가로서 그녀가 그려내는 세계는 정말 풍요롭죠. 이 작품을 비롯하여 『토란』(문이당, 2003), 『나흘』(문학동네, 2013) 등은 독서공동체에서 같이 읽고 이야기하기에 아주 좋습니다. 군산 부용각. 빼어난 노래와 신명나는 춤을 빌미로 여자들이 사랑을 사고파는, 그러다 사랑을 하기도 잃기도 하는 기생집이다. 이현수의 『신기생뎐』의 무대다. 주요 주인공은 넷이다. 소리기생 오 마담, 부엌어멈 타박네, 춤기생 미스 민, 오 마담을 스무 해 동안 외사랑하는 박 기사. 연작소설의 화자를 이루는 사람마다 사연이 절..
“지배적 시선에서 벗어나 다르게 살아보라” “나는 거의 팔십 년간 글을 써 왔다. 처음엔 편지였고, 그 다음엔 시와 연설, 나중엔 이야기와 기사, 그리고 책이었으며, 이젠 짧은 글을 쓴다.”존 버거 자신의 말 그대로, 『우리가 아는 모든 언어』(김현우 옮김, 열화당, 2017)에 담긴 글들은 아주 짧다. 정신의 높이와 넓이는 여전히 충분하지만, 육체가 오랜 긴장을 더 이상 축적하지 못하는 말년의 글이다. 존 버거의 글들은 소박한 언어로 자유를 향한 정치적 격렬함을 표출하고, 간결한 어조로 땅에 일구며 살아온 인류의 지혜를 온축할 줄 알았다. 그 경지가 한층 깊어진 것일까. 이 에세이들은 행들과 밑줄이 나란한 기적을 연출한다. 어쩌면 지난 1월 2일, 사망 소식을 접한 후이고, 이 책이 마지막 에세이집으로, 더 이상 그 목소리를 들을 수 없는 안타..
헤밍웨이 등을 마저 읽으며 설 오후를 보내다 처가에서 집으로 돌아오니 벌써 오후 2시가 다 되었다. 별로 막히지 않은 것 같은데도, 은근히 길에서 시간을 다 보냈다. 문안 겸 어머니 집에 가서 점심을 먹고 집에 돌아와 간단히 씻고 낮잠을 청했다. 그리고 미루어 두었던 책들을 꺼내 읽었다. 아울러 틈틈이 출판마케팅연구소에서 했던 기획 좌담 내용을 정리 중이다. 얼마나 말을 많이 했던지 쳐내도, 쳐내도 끝이 없다.『헤밍웨이 단편선 1』(김욱동 옮김, 민음사, 2013)을 거의 다 읽었다. 읽을수록 그동안 내가 ‘하드보일드’라는 스타일에 대해서 얼마나 무지했는지를 깨닫게 된다. 그건 다만 문장이 아니라 인생에 대한 어떤 태도를 지칭하는 것일지도 모른다. 감정을 배제한 속도감 넘치고 극단적으로 간결한 문체란, 인생에 대한 극한의 허무주의와 같은 것은 아닐..
거대한 여백 - 디자인에 대한 몽상(《디자인》 2012년 7월호) 이 글은 작년 7월에 월간 《디자인》에 실었던 글이다. 게재 직후에 원고 파일을 실수로 삭제하는 바람에 사라졌는데, 북디자인과 관련해서 인터넷 서핑을 하다가 문득 발견했다. 과거에 쓴 글이 어느 날 갑자기 쏟아져 들어오는 기분이다. 여기에 옮겨 둔다. 거대한 여백 디자인에 대해서 쓰려 하니 가장 먼저 거대한 여백이 떠오른다. 순전한 흰색, 어떤 문자도 문양도 그 위에 그려질 수 없는 절대 공간. 한창 산을 좋아했을 때, 새벽에 텐트 문을 열고 나오면 첫 빛으로 자태를 드러내면서 망막을 하얗게 태우고 언어의 길을 단숨에 끊어버렸던 눈 내린 직후의 흰색 산야. 어느 한밤중 문득 자다 일어나 꿈속에서 썼던 아름다운 시를 끼적여보려고 대학 노트를 여는 순간, 형광등 아래에서 날카롭게 빛을 뿜어내 머릿속의 리셋 ..
예술이란 무엇인가?(헨리 밀러) 한 사이트에서 헨리 밀러의 글을 만났다. 예술에 대한 멋진 정의가 가슴을 사로잡았다. 여기 가져다 번역해 둔다. 예술적 본능의 뿌리에는 권력, 그러니까 대리 권력에 대한 욕망이 있다. 예술가는 계층적으로 영웅과 성인 사이에 위치한다. (중략) 단순하게 말하면, 예술은 현실에 디딤돌을 놓는 것이다. 그것은 우리가 입사(入社) 의식을 겪는 통로이다. 인간의 의무는 스스로를 예술 작품으로 만드는 것이다. 인간이 행하는 창조 행위는 본래 타당한 것은 하나도 없음을 보여 준다. 인간은 각성하는 데 봉사해야 한다. 그것이 전부다. (헨리 밀러) 나는 예술가 타입에 대한 고집이 없다. 내게는 천재를 향한 욕구가 없다. 내게는 순교하려는 욕구가 없다. 내게는 대속을 향한 욕구가 없다. 내게는 소수의 편에서 아름다움을 ..
모든 사람을 위한 영화 vs 소수를 위한 영화 오늘 아침 미국의 영화 비평가 데이비드 덴비(David Denby)가 쓴 글을 읽다가 아래와 같은 부분을 마주쳤다. 다소 거칠기는 하지만, 곱씹어 볼 만한 부분이 많아서 여기에 번역해 둔다. 이 글을 읽으면서 모든 사람을 위한 소설을 쓰는 작가, 모든 이를 위한 시를 쓰는 시인의 재도래를 고대하는 게 다만 나 혼자만은 아닐 것이다. 사소한 기술적 진전보다는 영혼을 건 위대한 도전에 몰두했던 시대가 그립다. 과거의 위대한 감독들(데이비드 그리피스, 찰리 채플린, 프리드리히 무르나우, 장 르누아르, 월터 랭, 존 포드, 호워드 호크스, 앨프리드 히치콕, 오슨 웰스, 로베르토 로셀리니, 비토리오 데 시카, 미조구치 겐지, 구로사와 아키라, 잉마르 베리만, 젊은 프랜시스 코플라, 마틴 스콜세즈, 로버트 올트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