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직(職)/책 세상 소식

베스트셀러 1위 장기 독주, 슈퍼베스트셀러의 소멸을 어떻게 볼 것인가


하나의 책이 베스트셀러 1위를 장기적으로 독점하면서, 판매량을 누적해 결국 밀리언셀러에 오르는 현상(슈퍼 베스트셀러 현상)이 사라진 데 대한 출판계 지인들의 관심이 큰 것 같다. 《조선일보》 신동흔 기자의 「베스트셀러 1위 장기 독주가 사라진다」와 이데일리 김용운 기자의 「베스트셀러 1위 장기 집권 시대 끝났나」라는 기사가 연이어 나왔다. 이러한 ‘슈퍼 베스트셀러’의 갑작스러운 소멸은 출판산업과 관련한 잠재적 질문을 여러 가지 동반한다. 

첫째, 베스트셀러 리스트에 나타난 이와 같은 현상은 특이한 현상인가, 아니면 정상적 과정인가. 개인적으로는 오히려 특정 서적이 베스트셀러 1위 자리를 독점하는 현상이 ‘어떤 특이한 시기’를 표시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어떤 책이 베스트셀러 리스트에 장기적으로 오를 수는 있지만, 1위 자리를 독점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오히려 분석해 볼 만한 ‘이상한 현상’이라고 생각한다. 가령, 미국에서 《뉴욕타임스》 40주 연속 베스트셀러라는 말은 들어 보았어도, 40주 연속 베스트셀러 1위 따위의 말은 들어본 기억이 없다. 베스트셀러 리스트에 장기적으로 오르는 책은 많아도 1위를 오랫동안 독점하는 책은 드물다는 이야기다. 따라서 단순히 베스트셀러 1위만을 볼 게 아니라, 하나의 책이 베스트셀러 리스트에 얼마나 오랫동안 있었는지, 그러한 종류의 책들이 실제로 줄어들었는지를 살펴야 한다. 최근 10여 년 특정 서적이 베스트셀러 1위를 독점했다면, 이는 시장에 어떤 힘이 크게 작용했다는 뜻이다. 서점에서 발견성을 독점해 버린 이 힘이 무엇인지, 그 힘이 출판의 미래에 긍정적인지를 생각할 필요가 있다. 이는 자료를 통한 정밀한 분석을 요한다.

둘째, ‘슈퍼 베스트셀러’의 소멸은 베스트셀러 1위 서적의 시장 크기가 줄어들었음을 뜻하는가. 이는 아직 더 지켜봐야 할 이슈다. 한강의 『채식주의자』만을 놓고 보면, 이 책의 출고량은 맨부커인터내셔널 상의 수상이 발표된 직후, 며칠 만에 30만 부를 넘었으며 지금 50만 부 가까이 출고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단기간에 이 같은 판매량을 기록한 책은 출판 시장에서 아주 드물다. 거의 기록적 현상이다. 만인과 만인이 연결되어 있는 초연결사회의 특성상, 일단 이슈가 되면 단기간에 판매가 집중되어 거대한 거품이 발생하고, 다른 이슈가 이 이슈를 대체하면 금세 거품이 꺼지면서 다른 책으로 옮겨가는 일이 비일비재한 까닭이다. 책이 판매되면서 친구 추천 등을 통해 서서히 입소문이 형성되고, 그 과정에서 베스트셀러의 장기 생존 여부가 결정되는 익숙한 순환이 더 이상 작동하지 않는 듯하다. 하지만 책의 전체 판매량은 아마도 비슷할 수도 있다. 책은 반드시 읽으려고 사는 것이 아니라 대화에 참여하는 등 문화적 상징자본을 확보하려는 동기도 있으니까 말이다. 물론 책 생태계가 이런 방식으로 구조화되는 것이 긍정적이지만은 않다. 버블은 반드시 거대한 찌꺼기를 남기는 법이고, 또 단기간에 특정 서적으로 독자가 몰리는 현상은 다른 책의 발견성을 극도로 떨어뜨리면서 시장을 왜곡하는 측면이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베스트셀러의 크기마저 줄었다면, 이는 출판산업의 장기 전략에 관한 세밀한 조정이 필요함을 뜻한다. 

셋째, ‘슈퍼 베스트셀러’의 소멸은 ‘다양한 책’이 주목받는 출판 생태계의 선순환의 결과인가. 또는 선순환을 가져오는가. 그런 식으로 이해할 수도 있겠지만, 아무래도 너무 이상적인 해석이다. ‘슈퍼 베스트셀러’ 독자의 대부분은 ‘독서는 취미’이지만, 실제로 책을 거의 읽지 않는 비독자 또는 잠재 독자에 해당한다. 슈퍼 베스트셀러는 이들을 서점으로 끌어들이는 집객 효과를 발휘한다. 장기적으로 한 책이 사회적 주목을 받으면서 슈퍼 베스트셀러가 되는 것은, 역기능이 없지는 않지만, 대체로 비독자들 사이에 책 문화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독서의 즐거움에 입문하도록 해 주는 역할을 한다. 책은 이론적으로 대체재가 없다. 하나하나가 그 자체로 고유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슈퍼 베스트셀러의 소멸은 자칫하면 대체재 없는 독서의 소멸로 이어질 우려가 크다. 독서의 총량이 정해져 있어서, 하나의 책이 안 팔리면 다른 책이 팔리는 구조로 출판 시장을 상상한다면 아주 아마추어적이다. 마찬가지로 발견성의 총량 역시 정해진 것은 아니다. 슈퍼 베스트셀러가 언론 등의 노출에 따른 자연발생적 발견성을 흡입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일단 서점에 발을 들여놓은 독자들에게 일정 정도 관심이 없던 서적에 대한 발견성을 제공하는 것도 사실이다. 슈퍼 베스트셀러 탓에 다른 책의 발견성이 줄어드는 것만은 아니다. 개별 책의 발견성은 출판사의 노력을 통해 별도로 확보해야 한다. 슈퍼 베스트셀러의 소멸이 출판산업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려면, 책의 발견성을 확보하는 시스템이 출판사마다 일정하게 갖추어진 후여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오히려 책에 대한 독자들의 관심만 떨어뜨리는 역작용을 가져올 우려가 있다.


아래에 이 기사에 대한 내 코멘트를 옮겨 둔다.


베스트셀러 1위 장기 독주가 사라진다(《조선일보》 기사)

장은수 편집문화실험실 대표는 "독자들은 직접 서점을 찾거나 신문기사·광고 등의 다양한 경로를 통해 책을 '발견'하기보다 인터넷과 SNS의 영향을 더 받는다"며 "팔릴 때는 확 팔리다가 순식간에 판매가 빠지는 현상이 많아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출판사들은 이로 인해 스테디셀러마저 줄어드는 것을 우려하고 있다. 수오서재 황은희 대표는 "출판사는 오래 팔리는 책이 더 많아야 하는데, 요즘은 베스트셀러도 절벽에서 떨어지듯 주문이 '뚝' 끊긴다"고 말했다.

최근 알라딘 등을 통한 중고책 유통 확대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백원근 책과사회연구소 대표는 "중고서점의 영향으로 신간이 새 책으로 판매되는 기간이 짧아진 것은 아닌지 우려된다"며 "옛날 같으면 스테디셀러가 될 수 있는 책이 중고로 많이 풀리면 출판 시장의 파이는 줄어들 것"이라고 말했다.

전문은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8/17/2016081700162.html


베스트셀러 1위 장기집권시대 끝났나 (이데일리 기사) 

출판계는 이처럼 베스트셀러 순위에서 1위로 장기집권하는 책이 사라지는 현상에 주목하고 있다. 장은수 편집문화실험실 대표는 “소셜미디어시대에 접어들면서 사회적 이슈의 빠른 교체가 서점가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여기에 도서정가제의 영향으로 신간에 대한 주목도가 이전보다 높아지다보니 베스트셀러 순위에 영향을 미친 듯하다”고 분석했다. 장 대표는 “베스트셀러 1위의 종수가 다양해진 것은 그만큼 출판다양성이 높아졌다는 의미도 있다”며 “당분간 이런 추세는 계속되겠지만 100만권 이상 팔리는 밀리언셀러가 사라진다는 측면에서는 출판시장의 축소도 우려된다”고 말했다.


전문은 http://www.edaily.co.kr/news/NewsRead.edy?SCD=JI31&newsid=01272646612745352&DCD=A403&OutLnkChk=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