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연결

(15)
독자 발굴의 시대 책장을 정리하면서 뒤늦게 《세계의 문학》 2015년 여름호를 다시 읽는다. ‘독자 발굴의 시대’를 특집으로 하고 있다. 서동욱이 쓴 ‘기획의 말’을 조금 옮겨 둔다. 글을 쓰는 사람이 있었고, 편집하는 사람이 있었다면, 이젠 읽는 사람이 있다. 지금은 다행히 씨가 말라 버렸다고 해도 좋을 어설픈 엘리트주의는 독자를 깨우쳐야 된다고 믿었다. 그러나 독자란 깨우쳐야 할 무지의 계란을 품에 안은 자가 아니라 무엇이 필요한지를 알고 있는 자, 자신이 설정한 문제를 위해 책을 구성해 주기를 저자에게 요구하는 자이다. 독자를 발굴한다는 것은 바로 이러한 요구가 어떤 것인지를 깨우치는 문제인 것이다. 따라서 지식의 생산이란, 저자로부터 독자에게 보물이 뚝 떨어지는 수동적인 수혜의 장이 될 수 없고, 독자의 요구라는 ..
안 팔리더라도 좋은 책을? 나는 "안 팔리더라도 좋은 책"이라는 출판 인터뷰의 키치가 아주 불편하다. 사실, 이런 말은 출판 생태계에서 저자만 할 수 있는 것이다. 저자는 안 팔리더라도 좋은 책을 쓸 수 있다. 왜? 파는 것은 출판사와 서점이 책임질 터이고, 그러지도 못하면 출판될 수 없을 테니까. 자비로 40부를 인쇄해 단 7부가 팔린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처럼 미래의 책이 될 수도 있을 테니까. 좋은 책을 내는 것은 출판사의 당연한 의무이며, 출판 생태계를 작동시키는 필요조건일 뿐이다. 아무 자랑거리가 아니라는 말이다. 출판사는 저자가 아니다. 그렇다고 해서 물론 팔리는 책만 출판하라는 것도 아니다. 그런 건 출판의 타락일 터이다. 출판의 임무는 따로 있다.저자가 공들여 쓰고 편집자가 정성껏 만든 좋은 책을 독자가 발..
출판의 위기란 무엇인가 _ 네 가지 새로운 출판 모델에 주목하면서 * 이 글은 얼마 전 출판콘텐츠마케팅연구회 공개 세미나에서 발표한 내용입니다. 여기에 옮겨둡니다. 출판의 위기란 무엇인가?출판이 위기에 빠졌다고 한다. 그러나 출판의 위기란 무엇인가? 출판의 위기는 책이 팔리지 않는 것이 아니다. ‘단군 이래 최대 불황’은 항상 현재형으로 쓰였다. 책은 소수 미디어에 속하기에 항상 잘 팔리지 않았다. 그 내재적 가치에 비해 만족할 만큼 팔린 적은 드물다. 때때로 밀러언셀러가 나오고 출판이 활황을 보이기도 했지만 주로 외부 요인에 따르는 우연의 결과였을 뿐이다. 출판은 항상 배가 고팠다. 과거에도, 현재에도, 아마 미래에도 그럴 것이다. 이는 책의 가치와 판매 사이의 긴장이 출판의 영원한 숙제임을 보여준다. 다시 강조해 두자. 출판의 위기는 책이 팔리지 않는 게 아니다. ..
제10회 파주북시티 국제출판포럼 ‘시대의 편집, 편집의 시대’ (프린팅코리아) 2015 파주국제출판포럼을 월간 에서 크게 다루어주었습니다. 아래에 제가 나온 부분만 사진과 함께 옮겨 둡니다. 장은수 편집문화실험실 대표는 “모바일을 통해 만인이 만인과 연결된 초연결시대에는 제작과 기획이라는 편집자의 기본자질에 연결이라는 능력을 추가해야 한다. 특히 오늘날 출판은 ‘서점 연결’이 아니라 ‘서점을 넘어서는 연결’을 생산하는 과제를 안고 있기 때문이다. 콘텐츠 산업은 콘텐츠 하나를 개발해 자유로운 형태로 유동하면서 여러 가지 플랫폼에서 구현되는 원소스멀티포맷을 실천하고 있다. 게임사나 음반사, 영화사 등 주변 산업은 모두 이런 방식으로 일하고 있다. 이제 편집자는 이들 회사의 기획자처럼 움직여야 한다. 고정된 조직에서 한정된 일을 반복하는 것이 아니라 콘텐츠가 형성되는 지점에 모여든 후 ..
초연결시대의 출판과 편집 (경향신문 기사) 10월 초에 파주국제출판포럼에서 발표한 적이 있습니다. ‘미래의 편집’이 주제였죠. 저는 여기에서 ‘연결로서의 편집’이라는 개념을 소개했습니다.질문 시간에 철수와영희 박정훈 대표가 “언론, 서점의 도움을 받아 책을 팔아왔던 것은 자본을 가진 출판사일 뿐, 소출판사들은 그동안 도움을 받은 적이 없다. 지금 위기에 빠진 것은 거기에 의존해 왔던 대자본 출판사일 뿐이다. 소출판사들은 예나 지금이나 어려운 환경에서도 씩씩하게 책을 낼 뿐이다. 따라서 출판 산업을 이야기할 것이 아니라 출판 문화를 이야기해야 한다.”라고 말했던 것이 기억납니다. 흥미롭고 중요한 발언입니다. 그러나 ‘대출판사’와 마찬가지로 ‘소출판사’ 역시 ‘저자와 독자’ ‘쓰기와 읽기’ ‘책과 독자’를 연결하지 못하면 생존할 수 없습니다. 대소 ..
한 권의 책을 파는 데 마케팅 비용은 얼마나 쓸 수 있을까? 출판계 몇몇 사람들이 스타트업 바이블에 올라온 평생고객가치에 대한 글을 읽고 있기에 문득 출판마케팅에 대해서 평소 생각했던 것을 써보았습니다. 오늘 일하기 싫은 게 틀림없네요. 자꾸 딴짓을 하는 것을 보니 말입니다. 경영학에서 고객획득비용(CAC)이란, 고객 한 사람을 확보하는 데 들이는 비용을 말한다. 평생고객가치(LTV)란, 그렇게 해서 확보한 고객이 평생 동안 구매한 상품 가치를 말한다. 가령, 칫솔 회사가 1억 원을 들여서 1000명의 고객을 얻었다면, 고객획득비용은 10만 원이다. 그 고객의 평균 연령이 30세이고, 2개월에 한 번 1500원짜리 칫솔을 구매한다고 하자. 그러면 고객 한 사람이 한 해 9000원어치 칫솔을 구매하는 셈이고, 평균 연령을 80세로 잡으면, 평생고객가치는 45만 원이..
[문화일보 서평] 생각하고 먹는 모든 것 공유 ‘超연결사회’에서의 내 삶 _타인의 영향력 생각하고 먹는 모든 것 공유 ‘超연결사회’에서의 내 삶타인의 영향력 / 마이클 본드 지음, 문희경 옮김 / 어크로스 책은 다음과 같은 감동적인 문장으로 끝난다. “우리는 다양한 흐름에 휩쓸리지만, 우리를 우리로 만들어 주는 존재는 바로 함께 헤엄치는 사람들이다.” 언뜻 평범해 보이지만 저자와 함께 헤엄쳤던 사람들은 이 문장이 얼마나 뜨거운지 안다. 이름은 마이클이지만 본드 가문에 속한 사람답게 저자는 지하 감옥에서 우주 공간으로, 인도양의 무더운 밀림에서 남극의 얼어붙은 고원으로, 팔레스타인 가자 지구에서 9·11테러가 일어났던 뉴욕의 쌍둥이 빌딩 속으로 종횡무진 옮겨 다니면서 도저히 불가능해 보이는 각종 임무를 수행한다. 해결해야 할 질문은 때마다 상황마다 다르지만, 뭉치고 모여서 결국 최후의 한 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