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학이

(4)
[시골마을에서 논어를 읽다 16] 내자송(內自訟) _안으로 자신과 소송하다 5-27 공자가 말했다. “끝이로구나! 자기 잘못을 알아서 안으로 자신과 소송하는 사람을 나는 아직 보지 못했다.” 子曰, 已矣乎! 吾未見能見其過而內自訟者也. 공자가 언제 이 말을 했는지는 알 수 없다. 아마도 말년일 것이다. 주희는 내자송(內自訟)을 입으로 말하지 않더라도 마음에서 스스로 허물하는 것이라고 했다. 이 말은 과즉물탄개(過則勿憚改), 즉 ‘잘못하면 고치기를 거리끼지 않는다’는 「학이」 편의 말과 맥락이 닿아 있다. 잘못을 순순히 시인하면서 입에 붙이는 것보다 내면의 법정에 세워서 양심을 따라 따져 묻는 일이 더 뉘우침이 간절할 것이다. 따라서 안으로 자신과 소송하는 자는 잘못을 반드시 고칠 뿐만 아니라 다시는 그런 잘못을 저지르지 않을 가망이 높다. 주희의 학설이다.리쩌허우는 내자송을 증자..
[시골마을에서 논어를 읽다 14] 교언영색주공(巧言令色足恭) _훌륭한 말솜씨와 잘 꾸민 얼굴빛과 지나친 공손함을 부끄럽게 여기다 5-25 공자가 말했다. “말솜씨가 좋고, 얼굴빛을 잘 꾸미며, 공손함이 지나친 것을 좌구명이 부끄러운 일로 여겼는데, 나 역시 부끄럽게 생각한다. 원망을 감추고 그 사람과 벗하는 것을 좌구명이 부끄러운 일로 여겼는데, 나 역시 부끄럽게 여긴다.” 子曰, 巧言令色足恭, 左丘明恥之, 丘亦恥之. 匿怨而友其人, 左丘明恥之, 丘亦恥之. 배병삼은 이 구절을 다음과 같이 새긴다. 말솜씨가 좋고 얼굴빛을 잘 꾸미며 지나치게 공손한 자세를 수치로 여긴 것은 “자신의 이중성을 부끄러워함이니 겉과 속이 다름을 뉘우침”이요, 마음에 원망을 숨기고 그 사람과 벗하는 처세를 수치로 여긴 것은 “남을 대하는 태도의 이중성을 부끄러워함”이다. 전자는 자기 행동에 대한 성찰, 곧 충(忠)이고, 후자는 타자에 대한 자기 성실성의 성찰..
[시골마을에서 논어를 읽다 2] 학이시습지(學而時習之, 배우고 때에 맞추어 익히다) 1-1 공자가 말했다. “배우고 때에 맞추어 그것을 익히면 역시 즐겁지 않겠는가? 벗이 있어 먼 곳으로부터 찾아오면 역시 즐겁지 않겠는가? 남이 (나를) 알아주지 않더라도 성내지 않는다면, 역시 군자답지 않겠는가? 子曰, 學而時習之, 不亦說乎? 有朋自遠方來, 不亦樂乎? 人不知而不慍, 不亦君子乎? 자왈(子曰), 학이시습지(學而時習之), 불역열호(不亦說乎)?먼저, 자왈(子曰)에 대해 이야기하겠습니다. 자(子)는 ‘선생’이라는 뜻입니다. 본래 경대부(卿大夫)를 부르는 말이었습니다. 제자들이 스승을 공자로 부른 것은, 그가 노나라에서 대부를 지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공자는 스승-제자 관계를 창시한 사람이었으므로, 이 말은 점차 스승을 가리키는 말로 널리 쓰이게 되었습니다. 대개 공자(孔子), 맹자(孟子), 노..
[시골마을에서 논어를 읽다 1] 학이(學而) 편에 대하여 1 학이(學而) 편에 대하여 『논어』는 한 편 한 편이 체계적으로 서술된 것이 아닙니다. 제자들이 공자의 언행을 끌어 모은 책이고, 이를 지금처럼 스무 편으로 편집한 것도 아주 후대의 일입니다. 게다가 각 편에 실린 글을 숫자도 일정하지 않고 내용도 일관성이 없습니다. 편명 역시 맨 앞에 나오는 두세 글자를 따서 제목으로 삼았을 뿐 별다른 뜻은 없습니다.‘학이(學而)’라는 제목이 붙어 있다고 해서, 이 편에 공부에 대한 글이 모여 있는 건 아닙니다. 공부에 대한 글은 여섯 편뿐이고, 나머지는 공부와는 별 상관없는 이야기들입니다. 그러나 공자는 스스로 “배우기를 좋아한다(好學)”고 했습니다. 『논어』에 이 말은 열여섯 번이나 나올 정도입니다. 『논어』가 「학이」 편으로 시작한 것은 아마 이 때문일 듯도 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