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향

(3)
[시골마을에서 논어를 읽다 11] 오당지소자(吾黨之小子), 광간(狂簡) _우리 고을 젊은이들은 뜻은 크지만 5-22 공자가 진나라에 있을 때 말했다. “돌아가야겠구나! 돌아가야겠구나! 내 고향 젊은이들은 뜻은 크디크고 문장은 빛나지만 이를 마름질할 줄 모르는구나.” 子在陳, 曰, 歸與! 歸與! 吾黨之小子, 狂簡, 斐然成章, 不知所以裁之. 거대한 물길을 앞두고 이렇게 말한 후, 공자가 고향 노나라로 돌아가 젊은이들을 가르치려는 결심을 한다. 그로부터 ‘스승과 제자의 탄생’이라는 공자의 진짜 혁명이 시작된다. 공자는 세상에서 정치를 통해 직접 뜻을 펴려 했으나 오랫동안 부질없이 천하를 떠돌았을 뿐이다. ‘상갓집 개’라는 비웃음을 들을 정도로 적절한 시대를 만나지 못했다. 실의와 좌절에 빠진 공자는 떠돌아다닌 지 열네 해 만에 진나라에서 마침내 더 이상 정치로는 뜻을 펴지 못할 것임을 알았다. 때마침 노나라에서도 ..
새로운 삶에 대하여 ― 루쉰, 「고향」,『루쉰전집』(그린비, 2010) 새로운 삶을 가져야 한다. 우리가 일찍이 경험하지 못한 삶을.분주함 탓에 마음이 길을 잃은 듯하여 『루쉰전집』(그린비, 2010)을 꺼내들고 아무 데나 펼쳐서 작품을 읽었다. 단편소설 「고향」이었다. 유학 생활을 거쳐 스무 해 넘어 돌아온 고향. 낯선 땅을 떠돌면서 마음에 품고 다졌던 고향에 돌아온 루쉰은 거대한 충격을 받는다. 이곳은 그곳이 아니었던 것이다. 고향(故鄕)은 봉건적 착취와 억압 속에 어느새 이향(異鄕)으로 바뀌어 있다. 어릴 적 고향 친구 룬투가 자신을 ‘나으리’라 부르는 순간, 고향에 대한 모든 환상은 깨어진다. 이 가혹한 현실 앞에서 루쉰은 할 말을 잃는다. 사람과 사람 사이에 그사이 가로놓인 “슬픈 장벽”은 두껍디두껍다. 고향이 감옥으로 전락하는 순간이다.절망은 도처에 있다. 우리 ..
신사동에 대하여(문화일보 기고) 《문화일보》에서 기획 연재 중인 「느낌이 있는 ‘신(新) 풍물기행’」에 기고한 글이다. 내 젊음을 보냈던 신사동 거리를 소회와 함께 소개했다. 여기에 옮겨 둔다. 사람에게 고향은 하나가 아니다. 대대로 이어 살아온 조상의 고향이 있고, 몸을 얻어 자란 육체의 고향이 있으며, 밥 한 술 먹다가도 천 겹 감정이 너울지는 영혼의 고향이 있다. 또한 평생 의지해 살아갈 세계관의 틀이 생겨난 정신의 고향이 있고, 밥벌이를 하면서 혼신을 다해서 어른으로 살아간 사회적 고향이 있다. 내 조상의 고향은 충남 홍성군이고, 내 육체의 고향이자 영혼의 고향은 서울시 중구 약수동이며, 내 정신의 고향은 관악산 자락 아래 자하연 옆쪽이거나 녹두거리의 술집들이다. 내 사회적 고향은 서울시 강남구 신사동이다. 문학만 아는 철없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