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번역/한시

(35)
[시골마을에서 한시를 읽다] 왕수인(王守仁)의 산속에서 제자들에게(山中示諸生) 산속에서 제자들에게왕수인(王守仁) 개울가에 앉아 흐르는 물을 바라보나니물이 흘러감에 마음도 같이 한가롭다.산 위에 달이 떠오르는 것도 몰랐는데,솔 그림자 떨어져 옷 위에 얼룩지네. 山中示諸生 溪邊坐流水, 水流心共閑. 不知山月上, 松影落衣斑. 오늘 읽을 한시는 왕수인(王守仁, 1472~1529)의 「산 속에서 제자들에게 주다(山中諸示生)」라는 명나라 때 시입니다. 왕수인의 호는 양명(陽明)입니다. 양명학(陽明學)의 창시자로 앎과 함이 하나라는 지행합일(知行合一)의 정신을 강조한 것으로 유명합니다. 이 시는 자신의 깨달음을 함축해서 전하기 위해 지었다고 합니다. 어떤 뜻에서 그런지 차분히 감상해 보겠습니다.먼저 왕수인의 사상에 대해 간략히 살펴보겠습니다. 그 역시 주자의 학문을 깊이 숙고하는 데에서 공부를 ..
[마을에서 읽는 한시 1] 독좌경정산(獨坐敬亭山) 獨坐敬亭山李白衆鳥高飛盡孤雲獨去閑相看兩不厭只有敬亭山 홀로 경정산(敬亭山)에 앉아서이백 뭇 새들 높이 날아 사라지고외로운 구름 홀로 한가로이 떠 가네.서로 바라보아도 싫증 나지 않는 건오직 경정산이 있을 뿐이지. 일주일에 세 번 홍동밝맑도서관에서 아침에 한시를 읽고 있다. 당시(唐詩)를 기본으로 해서 우리나라 한시들을 주로 읽으려 하지만, 가끔 마을 주변에서 만나는 시들도 구해서 함께 우리말로 옮기면서 읽기도 한다. 여기에 차례대로 짤막한 감상을 붙여서 옮겨 둔다.이 시는 예전에 이미 읽은 적이 있지만, 김연수가 『청춘의 문장들』에서 애송한다고 밝힌 후에 새삼 눈에 들어와서 찬찬히 살펴 읽게 되었다. 김연수는 이렇게 말했다. 내 마음 한가운데는 텅 비어 있었다. 지금까지 나는 그 텅 빈 부분을 채우기 위해 ..
[한시 읽기] 한무제의 추풍사(秋風辭) 秋風辭 漢武帝 秋風起兮白雲飛 草木黃落兮鷹南歸 蘭有秀兮菊有芳 懷佳人兮不能忘 泛樓船兮濟汾河 橫中流兮揚素波 簫鼓鳴兮發棹歌 歡樂極兮哀情多 少壯幾時兮奈老何 가을바람에 부치는 노래[秋風辭] 한나라 무제(漢武帝) 가을바람이 불어오니 흰 구름이 날리는데푸나무는 누레져 떨어지고 기러기는 남으로 돌아가네.산란(山蘭)에는 꽃이 피고 국화에는 향기가 나는데가슴에 품은 아름다운 여인 잊을 수가 없구나.다락배 띄워 분하(汾河)를 건너는데물길 가로지르니 흰 파도가 일어나네.퉁소 불고 북 울리며 뱃노래 부르니즐거움이 다할수록 슬픔도 커지누나.젊은 날이 얼마나 가리, 늙어 감은 어찌할꼬. (1) 사(辭) : 시 형식의 하나로 이 작품이 『초사(楚辭)』의 흐름을 이었음을 보여 준다.(2) 무제(武帝, 기원전 156~기원전 87) : 성..
[한시 읽기] 항우(項羽)의 해하가(垓下歌) 垓下歌力拔山兮氣蓋世時不利兮騅不逝騅不逝兮可奈何虞兮虞兮奈若何 해하(垓下)의 노래항우(項羽) 힘은 산을 뽑을 만하고 기운은 세상을 덮을 만한데시세가 이롭지 않으니 추(騅)가 나아가지 않는구나.추가 나아가지 않으니 어찌할 것인가.우(虞)여, 우(虞)여, 너를 어찌할 것인가. 1) 항우(기원전 232년~기원전 202년) : 성은 항(項)이고 이름은 적(籍)이며 자는 우(羽)이다. 임회군(臨淮郡) 하상현(下相縣, 지금의 장쑤 성 수첸 시)에서 태어났다. 항씨는 대대로 초나라의 장군 가문이었다. 항우는 작은아버지 항량(項梁)과 함께 군대를 일으켰으며, 항량이 죽은 후에 진나라 정벌군의 총수로서 활약했다. 마침내 진나라를 쓰러뜨린 후 ‘서초(西楚)의 패왕(覇王)’을 칭하면서 제후들을 휘어잡았는데, 이때가 약관 스물일곱..
[한시 읽기] 유방(劉邦)의 대풍가(大風歌) 大風歌大風起兮雲飛揚威加海內兮歸故鄕安得猛士兮守四方 큰 바람의 노래[大風歌]유방(劉邦) 큰 바람 부니 구름이 흩날렸는데위엄을 천하에 더하고 고향으로 돌아왔네.어디인가, 용맹한 군사를 얻어 사방을 지킬 곳이. 1) 漢高祖 劉邦 : 한나라 고조 유방(기원전 256?~기원전 195)는 자가 계(季)이며, 태어난 해는 256년 외에도 257년이라는 설과 246년이라는 설이 있으나 어느 설도 정확하지 않다. 패현(沛縣) 풍읍(豊邑, 현재 장쑤성 펑현)에서 농민으로 태어나 나중에 진시황 사후 어지러워진 천하를 통일하여 한나라의 시조가 되었다. 젊을 때에는 건달 노릇을 하면서 이른바 협객의 무리들과 어울렸고, 나이 들어 사수(泗水)의 정장(亭長)이 되었다. 진나라 말에 진승(陳勝)과 오광(吳廣)이 난을 일으켰을 때, 이..
[한시 읽기] 최영년(崔永年)의 제호탕(醍醐湯) 醍醐湯 崔永年(梅下山人) 年年滌暑太醫方百煉烏梅白蜜湯拜賜宮恩如灌頂仙香不讓五雲漿 제호탕 최영년 해마다 더위를 식혀 주는 내의원 처방오매육, 꿀을 백 번 달여 만든 탕.절하고 받은 임금님 은혜가 정수리에 물을 부은 듯하고오묘한 향기는 아름다운 술에 지지 않는다. (1) 이 시는 구한말, 일제 때 사람인 최영년(崔永年, 1856∼1935)의 『해동죽지(海東竹枝)』에 실려 있다. 최영년은 자는 성일(聖一), 호는 매하산인(梅下山人)으로 신소설 『추월색(秋月色)』의 작가인 최찬식(崔瓚植)의 아버지이다. 설화집 『실사총담(實事叢譚)』(1918)과 악부시집 『해동죽지(海東竹枝)』(1925)를 남겼다. 죽지(竹枝)는 죽지사(竹枝詞)의 일종으로 칠언시로 특정 지역의 인물, 풍속 등을 기록한 시 형식을 말한다.(2) 태의(..
[한시 읽기] 라이 산요(賴山陽), 히메지 성에서(姬路城) 姬路城 賴山陽 五疊城樓插晚霞瓦紋時見刻桐花兗州曾啟阿瞞業淮鎭堪與匡胤家甸服昔時隨臂指勳藩今日扼喉牙猶思經略山陰道北走因州路作叉 히메지성에서 라이 산요 다섯 겹 쌓아 올린 성에 저녁노을 물드니기와 무늬 때맞추어 동백꽃 핀 듯 보이네.일찍이 조조는 연주에서 대업을 열었고조광윤은 회수(淮水) 강변에서 일가를 이루었도다.예전 제후들은 손가락이 팔을 따르듯 했건만지금 제후들은 천자의 목을 조르는구나.산인도(山陰道) 경략할 일을 깊이 생각해 보건대북으로 갔다가 다시 주(州)의 길을 가로질러야 하리. 1) 히메지성(姬路城) : 일본어로는 히메지조라고 읽는다. 일본 성들은 대부분 오랜 세월을 거치면서 전란과 화재 등으로 소실되었는데, 히메지성은 유일하게 피해를 겪지 않고 옛 모습 그대로 남아 있어 세계문화유산에 등록되었다. 달리..
[한시 읽기] 『시경』167 ― 나물 뜯세(采薇) (1) 시를 읽다 보면 가끔 원점을 확인하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 그럴 때 『시경』을 읽곤 합니다. 최근에 성백효 선생님께서 역주하신 『시경집전(詩經集傳)』을 구입했습니다. 틈날 때마다 이곳저곳을 뒤적이고 있는데, 무언가 얻는 듯하여 마음이 괜히 훈훈해집니다. 영문판 시경도 구했는데, 같이 읽으면 꽤 재미있습니다.(2) 『후한서』를 읽다 보니 「나물 뜯세(采薇)」라는 노래가 나왔습니다. 참조하여 여러 문헌을 읽게 되었는데, 살펴 옮겨 함께 읽어 보고 싶습니다. 본래 이를 「고사리 뜯으세」로 옮겼으나 아래 댓글에서 hena 님의 지적을 받아들여서 「나물 뜯세」로 고쳐서 다시 올립니다.(3) 『시경집전(詩經集傳)』을 보니 소아(小雅)는 정악으로 국가의 작은 행사에 쓰이던 노래라고 대충 이해할 수 있겠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