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절망

(4)
최고의 노후 준비 고대 인도 사람들은 지혜를 베다(veda)로 보았다. 베다는 ‘보다, 알다’라는 뜻이다. 지혜의 기록인 『베다』는 신들이 보는 것을 기록한 책이다. 지혜는 ‘밝게 보는 힘’이다. 과거는 돌아보고 미래는 내다보며 현재는 들여다보면서, 좋은 것과 나쁜 것, 옳은 것과 그른 것을 가리는 일이다. 수메르 사람들은 지혜를 엔키(enki)라고 했다. 엔키는 지혜의 여신이다. 이 여신은 ‘듣는 신’이다. “하늘 높은 곳에서 여신은 지혜를 받아들이는 자신의 귀를 땅을 향해 열었다.” 지혜란 주의 깊게 듣는 귀, 즉 ‘경청하는 힘’이다. 높은 곳의 소리는 가려듣고, 낮은 곳의 소리는 귀 기울여 듣고, 내면의 소리에는 예민해지는 일이다. 『인생의 아홉 단계』(교양인)에서 에릭 에릭슨과 조앤 에릭슨 부부는, ‘잘 보고 잘 ..
‘문장의 관료화’라는 말을 배우다 _ 다케우치 요시미의 『일본 이데올로기』(윤여일 옮김, 돌베개, 2017)를 읽다 비평가의 글은 자기가 속한 시대를 분석하고 그에 적절한 실천의 도구를 제시하면 그만이지만, 그 행위를 통해 후세의 사람들에게 생각의 도구를 제공하면 금상첨화다. 다케우치 요시미의 『일본 이데올로기』(윤여일 옮김, 돌베개, 2017)를 읽다가, ‘문장의 관료화’라는 표현에 사로잡혀 벌써 몇 주째 빠져나오지 못하고 있다. 심장이 아주 예리하게 베인 느낌이다. 나 자신이 썼던 많은 글이 머릿속에 줄지어 떠오르면서 일종의 자괴감에 시달리는 중이다. 다케우치는 말한다. 무의미한 글이 세상에는 없지 않다. 가령, 관료의 글이 그렇다. 학자가 써내는 글도 태반이 그렇다. 문학자라고 해서 다를 바 없다. 그리고 그 상태가 현재 일본에서 특히 눈에 밟힌다. 일반적으로 말해 문장의 관료화라는 현상을 인정해야지 싶다. (1..
새로운 삶에 대하여 ― 루쉰, 「고향」,『루쉰전집』(그린비, 2010) 새로운 삶을 가져야 한다. 우리가 일찍이 경험하지 못한 삶을.분주함 탓에 마음이 길을 잃은 듯하여 『루쉰전집』(그린비, 2010)을 꺼내들고 아무 데나 펼쳐서 작품을 읽었다. 단편소설 「고향」이었다. 유학 생활을 거쳐 스무 해 넘어 돌아온 고향. 낯선 땅을 떠돌면서 마음에 품고 다졌던 고향에 돌아온 루쉰은 거대한 충격을 받는다. 이곳은 그곳이 아니었던 것이다. 고향(故鄕)은 봉건적 착취와 억압 속에 어느새 이향(異鄕)으로 바뀌어 있다. 어릴 적 고향 친구 룬투가 자신을 ‘나으리’라 부르는 순간, 고향에 대한 모든 환상은 깨어진다. 이 가혹한 현실 앞에서 루쉰은 할 말을 잃는다. 사람과 사람 사이에 그사이 가로놓인 “슬픈 장벽”은 두껍디두껍다. 고향이 감옥으로 전락하는 순간이다.절망은 도처에 있다. 우리 ..
밑줄과 반응 2012년 5월 26일( 토) 1 "롤-리-타. 세 번 입천장에서 이빨을 톡톡 치며 세 단계의 여행을 하는 혀끝. 롤. 리. 타." (『롤리타』(블라디미르 나보코프 지음, 권택영 옮김, 민음사 펴냄), 15쪽) 활자 유랑자 금정연 씨가 프레시안에 쓴 글 「김수영의 독설 "'목마와 숙녀' 박인환은 양아치!"」에서 마주친 구절. 나보코프는 감각의 천재다. 한 사람의 마음속에 사는 영원한 거주자를 이토록 감각적 표현으로 보여 준 이는 많지 않다. 눈을 감고 가만히 굴려 본다. 내 마음속 그늘에서 분주히 움직이는 그 수많은 이들의 이름을. 혀끝에 올려서 한 자씩 튀겨 가면서 입술과 혀의 움직임을 생각해 본다. 내 혀끝은 어떤 모양을 그리면서 움직이고 있는가? 문장은 체험과 관찰과 사유를 통해서만 비로소 단련된다. 멋진 구절이다. 롤리타 블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