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형

(2)
[시골마을에서 한시를 읽다] 박행산전지댁유제(朴杏山全之宅有題, 행산 박전지의 집에서) 행산(杏山) 박전지(朴全之) 집에서 홍규(洪奎, 1242~1316) 술잔은 항상 채워야 하지만,찻잔은 깊은 것을 쓰지 않는다.행산에 하루 종일 비가 내리니자분자분 다시금 마음을 털어놓으세. 朴杏山全之宅有題 酒盞常須滿,茶甌不用深.杏山終日雨,細細更論心. 이 시를 지은 홍규(1242~1316)는 고려 말의 문인으로, 자신의 매부이자 무신정권의 마지막 실력자인 임유무(林惟茂)를 제거하여 무신정권을 무너뜨리는 데 큰 공을 세웠습니다. 행서와 초서에 뛰어나 글씨로도 일가를 이루었다고 합니다.박행산전지(朴杏山全之)는 벗인 행산(杏山) 박전지(朴全之)의 호와 이름을 같이 적은 것입니다. 옛 사람들은 호를 지을 때 거주하는 곳의 지명이나 특징을 살려서 짓곤 했는데, 행산(杏山)은 아마도 박전지의 집 근처에 살구나무 숲이..
[시골마을에서 한시를 읽다] 오형(吳詗)의 추일범주(秋日泛舟, 가을날 배를 띄우다) 가을날 배를 띄우다 오형(吳詗, 1242∼1314) 물새는 떴다가 가라앉고,모래톱은 곧았다 구부러지네.배 옆으로 산이 그림을 펼치고,노를 맞아 물결이 꽃을 피우네. 秋日泛舟 水鳥浮還沒,沙洲直復斜.傍舟山展畵,迎棹浪生花. 이 시는 고려 후기의 문신 오형의 작품입니다. 오형은 어릴 때 이름인 오한경(吳漢卿)으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학문이 정밀하고 넓었으며 마음이 너그럽고 꾸밈이 없어 대인의 풍모가 있었다고 전합니다. 「가을날 배를 띄우다(秋日泛舟)」는 오형의 문재를 알 수 있는 수려한 작품으로 공민왕 때 최해(崔瀣, 1288∼1340)가 편집한 『동인지문(東人之文)』(1355)에 실려 널리 알려졌습니다. 이 시는 두 수 연작으로 된 작품 중 뒤의 것입니다. 가을의 정취를 물씬 풍기는 작품으로 요즈음 같은 만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