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설문해자

(3)
[시골마을에서 논어를 읽다 5] 삼성오신(三省吾身) _세 가지로 내 몸을 반성하다 1-4 증자가 말했다. “나는 매일 내 몸을 세 가지로써 반성한다. 남을 위해 일을 꾸미면서 충성을 다하지 않았는가? 벗과 더불어 사귀면서 믿음직하지 않았는가? 전해 받은 바를 익히지 않았는가?” 曾子曰, 吾日三省吾身. 爲人謀而不忠乎? 與朋友交而不信乎? 傳不習乎? 증자왈(曾子曰)증자(曾子)는 노나라 사람으로 공자 말년의 제자입니다. 공자보다 마흔여섯 살 어렸습니다. 이름은 삼(參)이고, 자는 자여(子輿)입니다. 아버지 증점(曾點)도 공자의 제자였습니다. 공자 사후에, 유약과 함께 내면적 성찰과 수신을 중요시하는 학파를 이끌었으며, 점차 영향력을 발휘해서 유가(儒家)의 틀을 완성하는 데 큰 기여를 했습니다. 리쩌허우는 증자를 “유학에 종교적 도덕을 도입한 사람”이라고 평가했습니다. 오일삼성오신(吾日三省吾身..
[시골마을에서 논어를 읽다 2] 학이시습지(學而時習之, 배우고 때에 맞추어 익히다) 1-1 공자가 말했다. “배우고 때에 맞추어 그것을 익히면 역시 즐겁지 않겠는가? 벗이 있어 먼 곳으로부터 찾아오면 역시 즐겁지 않겠는가? 남이 (나를) 알아주지 않더라도 성내지 않는다면, 역시 군자답지 않겠는가? 子曰, 學而時習之, 不亦說乎? 有朋自遠方來, 不亦樂乎? 人不知而不慍, 不亦君子乎? 자왈(子曰), 학이시습지(學而時習之), 불역열호(不亦說乎)?먼저, 자왈(子曰)에 대해 이야기하겠습니다. 자(子)는 ‘선생’이라는 뜻입니다. 본래 경대부(卿大夫)를 부르는 말이었습니다. 제자들이 스승을 공자로 부른 것은, 그가 노나라에서 대부를 지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공자는 스승-제자 관계를 창시한 사람이었으므로, 이 말은 점차 스승을 가리키는 말로 널리 쓰이게 되었습니다. 대개 공자(孔子), 맹자(孟子), 노..
[시골마을에서 삼자경을 읽다 2] 구불교(苟不敎), 성내천(性乃遷). 교지도(敎之道), 귀이전(貴以專) 진실로 가르치지 않으면, 성품은 이내 옮겨간다. 가르침의 도는 한결같음을 귀하게 여긴다. 苟不敎, 性乃遷. 敎之道, 貴以專. 구불교(苟不敎), 성내천(性乃遷).구(苟)는 ‘진실로’라는 뜻이며, 문장 앞에 오면 ‘진실로 ~한다면’으로 풀이합니다. 『설문해자(說文解字)』에 따르면, 가르침(敎)이란 본받게 하는 것입니다. 부모나 스승이 하는 바를 본떠서 사람다움을 익히도록 하는 것입니다. 내(乃)는 이 구절에서는 ‘곧’ ‘금세’라는 뜻입니다. 천(遷)은 ‘옮겨가다’, 즉 ‘변하다’라고 새깁니다. 사람의 성품은 본래 선하다고 했으므로, 여기에서는 나쁜 쪽으로 변하는 것을 말합니다. 교지도(敎之道), 귀이전(貴以專).전(專)은 오직 하나에만 마음 쓰는 일을 말합니다. 성(誠)이나 충(忠)이라고 할 수도 있을 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