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데이터

(3)
알랭 드 보통, 말콤 글래드웰, 스티븐 핑커, 매트 리들리 지적 거장들의 '썰전', 사피엔스의 미래를 묻다 2015년 11월 어느 날, 알랭 드 보통과 말콤 글래드웰, 스티븐 핑크와 매트 리들리가 한 자리에 모였다. 이 지성계의 프로레슬러들은 ‘인류의 미래는 더 나아질 것인가?’라는 주제를 놓고, 격렬한 태그매치 게임을 벌인다. 지적 거인들 간의 보기 드문 치열한 논쟁을 성사시킨 곳은 캐나다의 오리아 재단이다. 금광 재벌인 피터 멍크가 세운 오리아 재단은 한 해에 두 번 “당대에 가장 뜨거운 국제 현안을 두고 연 2회 세계 정상급 지식인들을 불러서 토론을 벌인다.” 유료 공개 토론회 형식으로 진행되는 이 모임의 이름은 ‘멍크 디베이트’다. 참여자들은 제시된 주제에 대해 사전 투표를 하고, 유명인들의 토론을 듣고 나서 다시 투표해서 심판한다. 2008년부터 지금까지 계속되어 왔다. 멍크 디베이트의 창설자 피터 ..
출판의 기적은 매일매일 일어난다 ― 미시마 구니히로의 『좌충우돌 출판사 분투기』(윤희연 옮김, 갈라파고스, 2016)를 읽다 출판의 기적은 매일매일 일어난다― 미시마 구니히로, 『좌충우돌 출판사 분투기』(윤희연 옮김, 갈라파고스, 2016)를 읽다 편집자의 생명줄은 두 가지다. 하나는 데이터 또는 경험, 또 하나는 영감이다. 회사를 다니면서 뼈저리게 느낀 게 있다. 데이터는 조사로 만들 수 있고, 경험은 일해서 축적할 수 있지만, 영감이 바닥을 치면 끝이라는 것이다. 소진과 고갈의 허탈과 지루를 견뎌낼 만큼의 뻔뻔함이 있다면 아마도 이 일을 시작하지 못했을 터이다. 하루하루를 무의미와 멍 때림으로 흘려보내기에는 의미의 집적체인 책이 쏟아내는 아우라를 도저히 견디기 힘들다. 미시마샤의 사장 미시마 구니히로도 그랬다. “‘뭘 위해서’ 하는지 잘 모르겠는 일을 다음 날도 그다음 날도 소화해 내는 와중에, 감각이 마비”되어 “생각해야..
에레즈 에이든과 장바티스트 미셸의 『빅데이터 인문학』(김재중 옮김, 사계절, 2015)을 읽다 주말에 서평을 쓰려고 에레즈 에이든과 장바티스트 미셸의 『빅데이터 인문학』(김재중 옮김, 사계절, 2015)을 다시 읽었다. 역시 재미있고 흥미로운 책이다. 아래에 밑줄 그은 것들을 옮겨 둔다. 빅데이터는 인문학을 바꾸고, 사회과학을 변형시키고, 상업 세계와 상아탑 사이의 관계를 재조정할 것이다. (17쪽)호모사피엔스가 남기는 데이터 발자국의 양은 2년마다 두 배씩 늘고 있다. (21쪽)데이터는 “사회적 삶의 일부”다.구글 북스는 단순히 빅데이터가 아니라 롱데이터다. (28쪽)책은 오랜 기간에 걸쳐 우리 문명이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담은 초상화를 제공한다. (29쪽)다윈은 스스로에게 물었다. 왜 사물은 오랜 시간에 걸쳐 이렇게 존재하게 됐을까? 우리가 세상을 지금의 모습 그대로 이해하려면 오늘날의 상태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