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번역/한시

[시골마을에서 한시를 읽다] 양나라 무제 소연(梁武帝 蕭衍)의 자야사시가_여름(子夜四時歌_夏)


자야사시가_여름(子夜四時歌_夏)


양나라 무제 소연(梁武帝 蕭衍)


강남에 연꽃이 피니

붉은빛이 푸른 물을 뒤덮었구나.

색깔이 같으니 마음 또한 같고,

뿌리는 달라도 마음은 다르지 않네.


子夜四時歌(夏)

江南蓮花開,

紅光覆碧水.

色同心復同,

藕異心無異.




동진(東晉)이 멸망한 후 수(隨)나라가 다시 천하를 통일할 때까지 중국은 장강 남북에 각각 수많은 나라들이 일어섰다 스러지는 격변의 시기를 맞이했습니다. 이때 장강 북쪽에는 유목민족이 세운 열여섯 나라가, 장강 남쪽에는 한족이 세운 네 나라가 교체되는 극심한 혼란이 계속되었습니다. 이 시를 지은 소연(蕭衍)은 남제(南齊)의 황제를 시해하고 스스로 황제에 올라서 양(梁)나라를 세운 인물입니다. 무장으로도 이름이 높았지만, 시인으로도 문명을 떨쳤으니 문무겸전(文武兼全)의 인물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특히 황제에 오른 후 그 아들 소명태자(昭明太子)를 시켜 편집한 『문선(文選)』은 오늘날까지도 짝을 찾기 어려운 명저로서 널리 읽히고 있습니다.

자야가(子夜歌)는 악부시(樂府詩)의 한 부류로 장강 남쪽 오(吳) 땅에서 널리 불렸기에 자야오가(子夜吳歌)라고도 합니다. 악부(樂府)는 민간에서 떠돌던 노래를 수집하는 관청으로 이를 통해서 민심을 파악하곤 했습니다. 자야가는 진(晉)나라 때 오 땅의 자야(子夜)라는 여자가 부른 노래를 수집한 것으로 주로 남녀 간의 애절한 정을 노래하고 있습니다. 그 곡조가 자못 아름다웠기에 후대의 시인들이 여기에 맞추어 수많은 시를 지었는데, 그중에서도 소연의 「자야사시가」와 이백의 「자야오가」가 특히 이름이 높습니다.

첫 구절에서 강남(江南)은 장강 이남 지방을 말합니다. 초여름을 맞아 강남 땅 곳곳에 연꽃이 피었습니다. 담담히 전하고 있습니다.

둘째 구절에서 홍광(紅光)은 연꽃의 붉은 빛깔을 말합니다. 복(覆)은 본래 ‘뒤집히다’라는 뜻이지만, 여기에서는 ‘뒤덮다’ 정도로 풀이하는 게 좋습니다. 벽수(碧水)은 연못의 파란 빛깔을 말합니다. 붉은색과 파란색의 대비가 무척이나 선명합니다. 어제는 푸르다 오늘은 붉은 꽃이 피면서 색깔이 변한 연못 색깔을 복(覆) 한 글자로 절묘하게 표현했습니다.

셋째 구절과 넷째 구절은 연밥 따는 처녀의 사랑스러운 마음을 잘 드러냅니다. 사랑이란 어떤 식으로든 사랑할 이유를 찾아내고야 말지요. 동심(同心), 그저 한마음이 되기만을 바랄 뿐이지요. 색이 같을 때에는 마음은 당연히 하나인 것이요, 연뿌리가 다르다 해도 마음마저 다를 이유는 없습니다. 모든 곳에서, 모든 시간에 둘을 발명하는 것, 그것이 바로 사랑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연밥을 따러 몰려나온 처녀들도 많고, 그들을 보러온 총각들도 많건만 그 사이에서 딱 둘이만 발견하는 것, 그것이 사랑입니다. 마음이 괜히 두근거리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