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청나라

(4)
[시골마을에서 한시를 읽다] 정섭(鄭燮)의 가파른 절벽에 난초가 피다(峭壁蘭) 가파른 절벽에 난초가 피다 정섭(鄭燮) 가파른 절벽은 높이가 일천 척인데,난초꽃이 푸른 하늘에 걸려 있네.절벽 아래 캐려는 나무꾼이 있어서손을 뻗었으나 꺾을 수는 없었네. 峭壁蘭峭壁一千尺, 蘭花在空碧.下有采樵人,伸手折不得.정섭(鄭燮, 1693~1766)은 청나라 강희제 때의 시인이자 화가입니다. 양주팔괴(楊州八怪) 중 한 사람으로 불리는데, 벼슬을 떠나 글과 그림을 벗해서 자유롭게 살고자 후원자를 찾아 양주에 정착했습니다. 화훼 그림에 뛰어났으며, 시와 글씨와 그림을 한 폭에 같이 넣어서 조화를 추구하려 했습니다. 특히 난초 그림과 대나무 그림을 잘 그린 것으로 유명합니다. 지난주에는 같이 석류꽃을 공부했는데, 여름 꽃이라면 역시 난초꽃이기에 골라 보았습니다. 제목 초벽란(峭壁蘭)에서 ‘초(峭)’는 가파..
[시골마을에서 대학을 읽다] 경지(敬止, 머무름을 공경하다) 『시경』에 이르기를, “아름답고 아름답구나, 문왕이시여! 아아, 밝디밝은 모습으로 머무름을 공경하는구나!”라고 했다. 임금이 되어서는 인(仁, 어짊)에 머무르고, 신하가 되어서는 경(敬, 공경함)에 머무르고, 자식이 되어서는 효(孝, 효도함)에 머무르고, 부모가 되어서는 자(慈, 자애로움)에 머무르고, 사람들과 사귈 적에는 신(信, 믿음)에 머무른다.詩云, 穆穆文王, 於緝熙敬止! 爲人君止於仁, 爲人臣止於敬, 爲人子止於孝, 爲人父止於慈, 與國人交, 止於信. 이 문장은 따로 독립되지 않고, 지난주 읽은 것에 이어집니다. 계속해서 지어지선(止於至善) 중 ‘지(止)’의 뜻을 밝히고 있습니다. 먼저 앞 문장부터 풀이해 보겠습니다. 『시경』에 이르기를, “아름답고 아름답구나, 문왕이시여! 아아, 밝디밝은 모습으로 ..
서울대인문강의는 어떻게 될 것인가 《조선일보》에 서울대 김시덕 교수가 '세계사적 관점에서 보는 동아시아사'의 리스트를 소개했다. "당신의 리스트"라는 이 추천 코너는 미국의 Five Books를 벤치마킹한 것으로 내가 지면 개편 때마다 기자들에게 시도해 보라고 추천했던 것이다. 그 리스트를 읽다 보니 민음사에 있을 때 진행했던 '서울대 인문강의' 시리즈가 두 권이나 끼어 있어 가벼운 소회가 들었다. ------------------------------------------------------구범진 교수의 '청나라, 키메라의 제국'(민음사)은 오늘날의 중국을 이해하기 위해서도 필독서다. 우리는 중국의 실체가 멀리 고대에 있다고, 춘추전국시대와 삼국지의 시대에 있다고 흔히 생각한다. 그런 면도 분명히 있겠지만, 현실은 이미 2000년 전..
[한시 읽기] 한무제의 추풍사(秋風辭) 秋風辭 漢武帝 秋風起兮白雲飛 草木黃落兮鷹南歸 蘭有秀兮菊有芳 懷佳人兮不能忘 泛樓船兮濟汾河 橫中流兮揚素波 簫鼓鳴兮發棹歌 歡樂極兮哀情多 少壯幾時兮奈老何 가을바람에 부치는 노래[秋風辭] 한나라 무제(漢武帝) 가을바람이 불어오니 흰 구름이 날리는데푸나무는 누레져 떨어지고 기러기는 남으로 돌아가네.산란(山蘭)에는 꽃이 피고 국화에는 향기가 나는데가슴에 품은 아름다운 여인 잊을 수가 없구나.다락배 띄워 분하(汾河)를 건너는데물길 가로지르니 흰 파도가 일어나네.퉁소 불고 북 울리며 뱃노래 부르니즐거움이 다할수록 슬픔도 커지누나.젊은 날이 얼마나 가리, 늙어 감은 어찌할꼬. (1) 사(辭) : 시 형식의 하나로 이 작품이 『초사(楚辭)』의 흐름을 이었음을 보여 준다.(2) 무제(武帝, 기원전 156~기원전 87) : 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