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음과모음

(2)
‘주니어 평론가 시스템’의 파산과 문학 제도의 혁신 계간 《자음과모음》 봄호 특집 ‘작가-노동’이 화제다. “원고료로 생활이 가능한 ‘전업 평론가’는 과연 존재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에 문학평론가 장은정이 구체적 숫자로 답했기 때문이다. 2009~2019년까지 11년 동안 그가 발표한 글은 176편, 원고 매수로 5728매다. 대가는 총 3390만 원, 한 달 평균 46만 원이다. 이른바 ‘주니어 평론가 시스템’에 속해 상당히 많은 발표 기회가 주어졌는데도 이 정도다. 나머지 평론가들 수입은 말할 것도 없다. ‘전업 평론가’는 불가능하다. ‘주니어 평론가 시스템’은, 문학동네, 문학과지성사, 민음사, 창비 등 주요 문학 출판사의 내부 독회에 바탕을 둔 차세대 평론가 운영 체제를 말한다. 2000년대 중반 이후, 이들 출판사는 내부 편집위원, 편집자, 외부..
한국 문학은 젊은 비평가를 어떻게 관리해 왔는가 ‘지식인-비평(가)’의 시대가 국가, 민족, 공동체, 집단 주체라는 단위를 통해 문학을 재단함으로써 작품의 개별성과 복수성을 박탈해 왔고, 이를 기존 비평의 무능으로 평가하는 입장이 등장합니다. (중략)그리하여 각 작품의 분석적이고 세밀한 읽기를 통해 ‘공동체’의 윤리보다 ‘개별자’의 도덕을 강조하는 2000년대 전후의 ‘작가-비평가’가 출현합니다. (중략)젊은 평론가들을 고정 멤버로 하여 신간들에 대한 서평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발행하는 팀이 [주요 출판사에] 있었습니다. 즉 2009년을 전후로 일종의 ‘주니어 평론가 시스템’이 형성되었으며 이 시스템 안에서 활동했던 평론가들은 ‘젊은 평론가’라는 호명 하에 여러 특집 기획에서 함께 묶여 필자로 초대되는 일이 잦았고 이러한 기획들이 여러 번 반복되면서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