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성

(3)
길 위에 서자 지혜가 찾아왔다 ― 마리아 베테티니·스테파노 포지 엮음, 『여행, 길 위의 철학』을 읽고 《문화일보》에 쓰는 서평, 이번 주에는 『여행, 길 위의 철학』(책세상, 2017)을 다루었습니다. 여행을 통해서 지혜를 얻었던 철학자들의 삶을 다룬 책입니다. 이탈리아에서 나온 책답게, 이 책에 나오는 여행은 지중해를 중심으로 이루어집니다. 정확히 말하면 이 책에 나오는 철학자들은 이탈리아를 지혜의 땅으로 만드는 데 복무합니다. ‘공간인문학’의 측면에서 상당히 흥미로운 시도라고 생각합니다. 국내에서도 이런 기획이 나오면 좋을 것 같습니다. 길 위에 서자 지혜가 찾아왔다― 마리아 베테티니·스테파노 포지 엮음, 『여행, 길 위의 철학』(천지은 옮김, 책세상, 2017) 철학자들의 여행에 대한 책이지만 여행자들의 철학에 대한 책이라고 해도 좋을 듯하다. 때때로 정치적 탄압을 피하거나 개인적 야망을 달성하려는..
정명환의 『인상과 편견』(현대문학, 2012)을 읽다 사유의 대가와 함께 출근하는 것은 얼마나 즐거운가. 아침 풍경은 정신의 빛으로 가득 차 역동적으로 꿈틀거리고, 세상은 그 이면의 깊이를 드러내면서 매혹한다. 밤의 허무에 쫓겨 한껏 느슨해져 버린 마음은 문자의 숲들 속에서 휴식과 함께 새로운 활력을 얻는다. 그런 뜻에서 지난 두 주일 동안 정명환 선생과 함께 출근한 것은 정녕 현명한 일이었다. 연구에서 사상에 이르기는 얼마나 어려운가. 현실의 뜨거운 망치질로 단련받지 않은 쇳덩이가 날카롭게 벼려지는 법은 없다. 사회과학자들이 각종 위원회나 연구소 등을 통해 현실에 직접 참여하고, 인문과학자들이 출판사를 기웃대면서 각종 잡지에 정열을 다하는 것은 이를 알기 때문이다. 나는 연구 그 자체의 논리와 윤리를 존중하지만, 현실에 참여해 보지 않은 연구자의 말에 귀..
발자크의 『골짜기의 백합』(정예영 옮김, 을유문화사, 2008)을 읽다 삼류 작가의 시시한 작품보다 거장의 걸작을 오해하기는 얼마나 쉬운가. 어린 시절, 루카치의 ‘리얼리즘의 승리’라는 마르크스주의 문예 미학의 깃발 아래 읽었던 발자크의 작품들은 얼마나 재미없었던가. 그때는 소설 속 인물들의 인생은 보이지 않고, 작가의 사상이 왕당파에 가까운 데도 불구하고 그 핍진한 묘사 때문에 소설 내용이 ‘부르주아의 승리’라는 역사적 법칙의 엄중함에 따른다는 것만을 눈에 불을 켜고 확인하려 들었다. 작품마다 독자를 압도하는 거대한 관념들의 전개, 귀족 세력을 서서히 압박해 들어가는 상인 세력의 발흥, 그 갈피에서 오로직 역사 법칙에만 복무하는 듯한 인물의 행위들, 이런 독서는 결국 나의 발자크 읽기를 극도로 피로하게 만들었으며, 결국 나는 발자크 작품들을 제대로 읽지도 않은 채 극도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