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라카와 시즈카

(4)
선거 選 16획 | 선 | 가리다, 갖추어지다 형성. 성부는 巽(손). 손(巽)은 신 앞의 무대에서 두 사람이 나란히 춤추는 모양. 이렇게 신 앞에서 무악을 바치는 것을 찬(撰, 차리다, 뽑다)이라고 한다. 『시경』 「제풍(齊風)/ 의차(猗嗟)」에 “춤을 춘즉 갖추어지다”(舞則選兮)라 하여 갖추어지는 것을 말한다. 두 사람이 갖추어 춤추는 데에서 ‘갖추다’라는 뜻이 되고, 신 앞에서 춤추는 자는 뽑힌 사람이므로 ‘뽑다’라는 뜻이 된다. 신에게 바치는 주식(酒食)을 찬(饌, 차리다, 음식)이라고 한다. 擧 18획 | 거 | 들다, 행하다 회의. 여(與)와 수(手)를 조합한 모양. 여(與)는 여(与, 두 개의 상아를 조합한 모양)를 네 개의 손으로 떠받치는 모양으로, 협력하여 운반한다는 의미이다. 여기에 또 수(..
출판과 종교(필사에서 종교로, 금속활자에 대하여) 고려는 세계 최초로 금속활자를 만들어 낼 만큼 오랜 출판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중세 유럽 수도사의 일과가 성경을 베껴 쓰는 일과 기도로 이루어졌듯이, 고려의 승려도 경전을 직접 베껴 쓰며 사경을 제작했다. 필사의 전통에서 인쇄로의 전환은 세계사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또 하나의 혁명이었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인쇄 문화는 수도원과 사찰, 성경과 경전이라는 신앙 공간, 종교의 성전(聖典)을 매개로 꽃피었다. 대장경에는 불교의 성전이라는 신앙적 의미로서뿐 아니라 지식을 체계화하고 소통하고자 했던 인류의 지혜가 담겨 있다. 대장경판이 봉안된 해인사 장경판전은 진리를 향해 나아간 당대의 노력을 보여주는 거대한 도서관과 같다. (중략)필사의 방식에서 목판 인쇄로의 발전은 인류의 역사에서 결정적 장면 중 하나이다. 나..
[시골마을에서 논어를 읽다 14] 교언영색주공(巧言令色足恭) _훌륭한 말솜씨와 잘 꾸민 얼굴빛과 지나친 공손함을 부끄럽게 여기다 5-25 공자가 말했다. “말솜씨가 좋고, 얼굴빛을 잘 꾸미며, 공손함이 지나친 것을 좌구명이 부끄러운 일로 여겼는데, 나 역시 부끄럽게 생각한다. 원망을 감추고 그 사람과 벗하는 것을 좌구명이 부끄러운 일로 여겼는데, 나 역시 부끄럽게 여긴다.” 子曰, 巧言令色足恭, 左丘明恥之, 丘亦恥之. 匿怨而友其人, 左丘明恥之, 丘亦恥之. 배병삼은 이 구절을 다음과 같이 새긴다. 말솜씨가 좋고 얼굴빛을 잘 꾸미며 지나치게 공손한 자세를 수치로 여긴 것은 “자신의 이중성을 부끄러워함이니 겉과 속이 다름을 뉘우침”이요, 마음에 원망을 숨기고 그 사람과 벗하는 처세를 수치로 여긴 것은 “남을 대하는 태도의 이중성을 부끄러워함”이다. 전자는 자기 행동에 대한 성찰, 곧 충(忠)이고, 후자는 타자에 대한 자기 성실성의 성찰..
학문에 대하여(시라카와 시즈카) ​​나 자신이 어떤 학문을 창시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하는 책임을 지게 되었습니다. 단순히 남의 학문을 수용하는 것으로 만족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나 자신이 연구자가 되고 창조자가 되어, 새로운 학문을 수립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하는 입장이 된 셈이지요. (중략) 학문이란 것은 시대와 더불어 움직이고 시대와 더불어 진보하는 것이어서, 일생 자기의 스승에 고개를 쳐들 수 없다고 한다면 학문은 퇴보할 뿐입니다. 퇴각할 뿐입니다. 제자들은 모름지기 선생의 머리를 밟고, 그 위를 넘어서 나가지 않으면 학문의 진보란 있을 수 없습니다. 시라카와 시즈카 선생의 말이다. 새벽에 문득 선생이 쓴 [한자, 백 가지 이야기](심경호 옮김, 황소자리, 2005)를 꺼내 다시 또 읽다가 느낀 바 있어 옮겨 적는다. 시골 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