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4)
[시골마을에서 한시를 읽다] 박행산전지댁유제(朴杏山全之宅有題, 행산 박전지의 집에서) 행산(杏山) 박전지(朴全之) 집에서 홍규(洪奎, 1242~1316) 술잔은 항상 채워야 하지만,찻잔은 깊은 것을 쓰지 않는다.행산에 하루 종일 비가 내리니자분자분 다시금 마음을 털어놓으세. 朴杏山全之宅有題 酒盞常須滿,茶甌不用深.杏山終日雨,細細更論心. 이 시를 지은 홍규(1242~1316)는 고려 말의 문인으로, 자신의 매부이자 무신정권의 마지막 실력자인 임유무(林惟茂)를 제거하여 무신정권을 무너뜨리는 데 큰 공을 세웠습니다. 행서와 초서에 뛰어나 글씨로도 일가를 이루었다고 합니다.박행산전지(朴杏山全之)는 벗인 행산(杏山) 박전지(朴全之)의 호와 이름을 같이 적은 것입니다. 옛 사람들은 호를 지을 때 거주하는 곳의 지명이나 특징을 살려서 짓곤 했는데, 행산(杏山)은 아마도 박전지의 집 근처에 살구나무 숲이..
[시골마을에서 한시를 읽다] 이인로(李仁老)의 천심원 벽에 부쳐서(題天尋院壁) 천심원(天尋院) 벽에 부쳐서 이인로(李仁老) 손님을 기다렸는데 손님은 아직 이르지 않았고,스님을 찾았는데 스님 역시 보이지 않네.남아 있기는 오직 숲 너머 새 한 마리,고이고이 권하시네, 술병을 들라고. 題天尋院壁 待客客未到,尋僧僧亦無.惟餘林外鳥,款款勸提壺. 지난주에 이어 이인로의 시를 읽겠습니다. 사랑에 빠진 사람은 언제, 어디서든 연인에게서 사랑할 이유를 찾아내듯이, 술꾼 역시 언제, 어디서든 술 마실 이유를 찾고야 말지요. 이 작품은 천심원(天尋院) 벽에 써 붙인 시입니다. 천심원은 고려시대 때 개성 바깥에 있던 곳입니다. 이곳에서 길 떠나는 이들을 배웅하면서 정을 나누었다고 합니다.화자는 천심원에서 홀로 술병을 기울입니다. 기다리는 손님은 아직 이르지 않았고, 천심원을 관리하는 스님 역시 자리를 ..
절각획선(切角劃線) - 2014년 1월 20일(월) 주말에 이상한 모양으로 흐트러져서 글을 쓰지 못했다. 금요일에 마신 술이 주말 내내 어떤 식으로든 영향을 끼쳤을 것이다. 하지만 읽던 책을 마저 읽었고, 쌓아 둔 자잘한 자료를 섭렵했으며, 새로운 책을 집어 들었다. 또 취미로 하는 번역을 틈날 때마다 했다. 모아서 정리한다. (1) 드니 디드로, 『운명론자 자크와 그의 주인』(김희영 옮김, 민음사, 2013) 중에서 ― 지나치게 똑똑한 체하면 바보가 될 뿐이다. (366쪽)― 포도주 속에는 진실이 거의 없다. 아니면 그 반대로 포도주 속에는 거짓만이 있다. (366쪽) 술은 늘 거짓말을 한다. 삶을 파괴한다. 술과 결별하지 않는 한 노년을 행복으로써 누리기 어려우리라.― 한 마디 말, 하나의 몸짓이 때로는 온 도시 사람들의 수다보다도 더 많은 것을 제게..
[한시 읽기] 도연명, 술을 마시고(飮酒) 제5수 飮酒 陶潛 結廬在人境而無車馬喧問君何能爾心遠地自偏採菊東籬下悠然見南山山氣日夕佳飛鳥相與還此中有眞意欲辨已忘言 (1) 음주(飮酒) : 전체 스무 수의 연작으로 이 시는 그 중 다섯 번째 작품이다. 첫 번째 작품에는 “내가 한가하게 살다 보니 기쁜 일이 적은데 더하여 밤도 길어졌다. 그러던 어느 날 우연히 좋은 술을 얻어 밤이면 마시지 않을 때가 없었다. 내 그림자를 돌아보며 홀로 모두 마시고 나면 어느새 취하곤 했다. 취하고 나서 곧 몇 구절 적은 후 스스로 즐거워했는데, 종이에 쓴 것은 많아졌지만 글에 차례가 없었다. 이에 친구에게 부탁해 이들을 쓰게 하니 이는 다만 함께 즐기고 웃으려 했을 뿐이다(余閒居寡懽, 兼此夜已長. 偶有名酒, 無夕不飮. 顧影獨盡, 忽焉復醉. 旣醉之後, 輒題數句自娛, 紙墨遂多, 辭無詮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