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서삼경

(12)
[시골마을에서 대학을 읽다] 군자불출가이성교어국(君子不出家而成敎於國, 군자는 집안을 나서지 않고도 나라에 가르침을 이룩할 수 있다) 이른바 나라를 다스리려는 사람은 반드시 먼저 그 집안을 가지런히 해야 한다는 것은 그 집안을 가르칠 수 없으면서 능히 남을 가르칠 수 있는 사람은 없다는 말이다. 그러므로 군자는 집안을 나서지 않고서도 나라에 가르침을 이룩할 수 있는 것이다. 효도는 그로써 임금을 섬기는 바요, 공손함은 그로써 어른을 섬기는 바요, 자애로움은 그로써 백성들을 부리는 바이다. 所謂治國必先齊其家者, 其家不可敎, 而能敎人者無之, 故君子不出家而成敎於國. 孝者, 所以事君也, 弟者, 所以事長也, 慈者, 所以使衆也. 오늘부터는 전(傳) 9장을 읽도록 하겠습니다. ‘제가(齊家)’와 ‘치국(治國)’을 관련지어 설명하는 문장입니다. 여기에서 ‘가(家)’는 요즘의 식구를 가리키는 말이 아닙니다. 좁게는 씨족 가문을 칭하는 것이고, 넓게는 한..
[시골마을에서 대학을 읽다] 인막지기자지악, 막지기묘지석(人莫知其子之惡, 莫知其苗之碩, 사람은 그 자식의 잘못을 알지 못하며, 그 싹의 자람을 알지 못한다) 그러므로 속담에 이런 말이 있다. “사람은 그 자식의 잘못을 알지 못하며, 그 싹의 자람을 알지 못한다.” 이것을 일컬어서 몸을 닦지 않으면, 그 집안을 가지런히 할 수 없다고 하는 것이다.故諺有之曰, 人莫知其子之惡, 莫知其苗之碩. 此謂, 身不修, 不可以齊其家. 어제에 이어서 전(傳) 8장의 나머지 문장을 읽겠습니다. 오늘은 당시에 널리 알려진 속담을 들어서, ‘수신(修身)’과 ‘제가(齊家)’의 관계를 설명합니다. 『대학』의 저자는 집안을 바로잡음으로써 천하를 바로잡을 수 있다고 믿었고, 자신의 몸을 맑게 닦음으로써 집안을 바로잡을 수 있다고 믿었습니다. 몸을 맑게 닦는 것은 단지 집안을 다스리기 위한 것만은 아닙니다. 사물의 이치를 깨닫고 앎을 끝까지 하는 격물치지(格物致知)도 그 안에는 분명히 들어 ..
[시골마을에서 대학을 읽다] 호이지기악 오이지기미(好而知其惡 惡而知其美, 좋아하면서 그 나쁜 점을 알고, 싫어하면서 그 좋은 점을 알다) 이른바 그 집안을 가지런히 하는 것이 그 몸을 닦는 데 달려 있다는 말은, 사람은 그 가까이하고 사랑하는 바가 있으면 이에 치우치고, 그 낮춰 보고 싫어하는 바가 있으면 이에 치우치고, 그 두려워하고 공경하는 바가 있으면 이에 치우치고, 그 가엽어하고 불쌍히 여기는 바가 있으면 이에 치우치고, 그 멋대로 굴고 게을리 대하는 바가 있으면 이에 치우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좋아하면서도 그 나쁜 점을 알고, 싫어하면서도 그 좋은 점을 아는 이는 천하에 드물다.所謂齊其家在修其身者, 人之其所親愛而辟焉, 之其所賤惡而辟焉, 之其所畏敬而辟焉, 之其所哀矜而辟焉, 之其所敖惰而辟焉. 故好而知其惡, 惡而知其美者, 天下鮮矣. 오늘은 전(傳) 8장을 읽겠습니다. 8장은 수신(修身)의 뜻을 설명합니다. 『대학』의 저자는 도탄에 빠..
[시골마을에서 대학을 읽다] 지본(知本, 근본을 안다) 공자가 말했다. “송사를 듣고 처리하는 것은 나도 남과 마찬가지다. (그러나 나는) 반드시 송사가 없도록 할 것이다.” 진실하지 못한 자가 그 하소연을 끝내 다할 수 없는 것은 백성들의 마음을 크게 두렵게 했기 때문이니, 이것을 일컬어 근본을 안다고 하는 것이다. 子曰, 聽訟, 吾猶人也. 必也使無訟乎. 無情者不得盡其辭, 大畏民志, 此謂知本. 오늘은 전(傳)의 네 번째 장을 읽도록 하겠습니다. 이 장은 물유본말(物有本末, 사물에는 근본과 말단이 있다)의 뜻을 주석하고 있습니다. 고본에는 ‘지어신(止於信, 믿음에 머물다)’ 다음에 이 구절이 있었는데, 주자가 새로 편집하면서 이 자리에 가져다두었습니다. 여러 번 말했지만, 이러한 편집 행위를 두고 후대의 왕양명(王陽明)은 크게 반발하면서 본래 고본을 놓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