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러시아

(2)
물질에 취해 ‘사유 불능’에 빠진 중국 두 주에 한 번 쓰는 《문화일보》 서평. 이번 주에는 쉬즈위안의 『한 유랑자의 세계』(김태성 옮김, 이봄, 2018)를 다루었습니다. 베이징 독립서점 ‘단샹제’의 주인으로 중국 내에서는 상당한 지적 스타인 쉬즈위안의 책은 2012년 『독재의 유혹』(김영문 옮김, 글항아리)이 출판된 이래, 국내에 꾸준히 소개되었습니다. 중국, 타이완, 홍콩의 반체제 인사를 다룬 『저항자』(김택규 외 옮김, 글항아리, 2016)는 상당힌 인상 깊었던 책입니다. 이번에 나온 『한 유랑자의 세계』는 『미성숙한 국가』(김태성 옮김, 이봄, 2017), 『나는 내 나라가 낯설다』(김태성 옮김, 이봄, 2017)와 함께 ‘국가 3부작’으로 불리는 책입니다. 인도, 부탄, 러시아, 독일, 프랑스, 영국, 이집트, 팔레스타인, 버마 등..
고골, 『검찰관』(조주관 옮김, 민음사, 2005)을 읽다 명불허전. 몇 번을 읽어도 전혀 실망스럽지 않은 작품이 있다. 그중 하나가 고골의 대표작인『검찰관』(조주관 옮김, 민음사, 2005)이다. 이 격렬한 유머, 치열한 풍자, 스스로를 파멸로 이끌어 가는 속물들의 연쇄, 작품의 인간들은 전혀 구원받을 수 없는 최악의 비천함 속에 빠져 있다. 한 치의 꺼리낌도 없이 고골은 우리를 인간의 속물성이 고스란히, 조금의 그늘도 없이 폭로되는 그 잔혹함 속으로 몰고 간다. 읽는 내내 정말로 즐거웠다. 조주관 선생의 해설은 이 작품의 미학적 성취와 쟁점 들을 고스란히 정리해서 보여 준다. 고골의 영원한 현재성은 근본적으로는 작가 본인에게서 나오겠지만, 어쩌면 이런 방대하면서도 정열이 넘치는 러시아 비평가들의 미학적 투쟁에 의해 보호받고 있다. 오늘날의 작품을 이해하는 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