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직(職)/책 세상 소식

소셜네트워크에 시를 공유할 때 앞으로는 돈을 내게 될까?



 


예전부터 시나 소설 등을 온라인 사이트에서 이용하는 데 과금을 하자는 논의가 있었다. 하지만 실제로 한 번도 그것이 실행된 적은 없었다. 출판은 서점이라는 별도의 판매 채널을 가지고 있고, 온라인에서 독자들이 게시를 통해 시나 소설 등을 주고받는 행위는 사적 친교의 형태이자 오히려 자신을 홍보해 주는 입소문 마케팅의 일종으로 이해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최근에 한국문예학술저작권협회(문예협)에서 음원 사이트와 유사한 시원(詩源) 사이트를 만들어서 블로그, 카페, 소셜네트워크서비스 등에서 시를 공유하는 행위에 대해서 과금을 하겠다는 주장을 한 것 같다. 


최근 한국문예학술저작권협회(문예협)가 디지털 음원 사이트와 비슷한 형태의 시 유통 사이트를 구축하기로 해 주목된다. 이 협회는 시, 소설, 수필 등 어문 저작물에 대한 권리를 저자들에게 위임받아 관리하는 곳. 서정주·박목월·고은 등 국내 2000여 명의 시인이 소속돼 있다. 문예협은 현재 관련 시스템을 운영할 사업체를 찾고, 시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하는 중으로 내년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 사이트 내에 시 낭송 스트리밍과 휴대전화 벨소리, 시 메일링 서비스 등 다양한 수익 모델도 만들 계획이다. 


물론 블로그, 카페, 소셜네트워크서비스 등은 미디어의 하나로 볼 수 있는 만큼 저작권을 적용할 수 있는 장소인 것만은 분명하다. 그러나 이것이 시대의 대세일 수는 있지만, 꼭 이렇게 해야 하는지는 의문이다. 아마 이런 서비스 업체가 생기고 현실에서 작동이 되는 순간, 시집(시집 출판)은 거의 무조건 사라질 것이 틀림없다. 물리적 의미의 음반이 사라졌듯이 말이다. 시집 전체가 읽기의 대상이 되는 것이 아니라, 개별 시나 시 구절만이 집중적으로 소비되면서 시를 쓰고 읽는 문화가 전면적으로 변혁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이를 일단 시행하기 전에 문학단체들을 중심으로 문학과 산업을 동시에 통찰할 수 있는 전문가들의 면밀한 논의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나 개인적으로는 오래전부터 이런 문제에 대해서는 게시의 실질적 수혜자인 포털 사이트 등과 협상을 벌여서 그들에게 과금하는 방안을 법적, 제도적으로 연구해야 한다고 생각해 왔다. 문화일보에서 인터뷰를 요청해 왔기에 간략하게 내 의견을 밝혔다. 


인터넷 시 게시에 대한 과금 대상은 개인이 아닌 해당 사이트에 맞춰져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장은수 편집문화실험실 대표는 “일반인들은 취미활동으로 시를 올릴 뿐이고, 실제 이런 콘텐츠들이 즐비한 인터넷 카페나 블로그를 통해 경제적 이득을 취하고 있는 것은 포털 사이트”라며 “이들이 수익 중 일부를 문학진흥 활동에 투입하는 방향이 옳다”고 했다.


전문이 궁금한 분은 아래 링크를 참조하기 바란다.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15072201032512054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