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신

(5)
[시골마을에서 논어를 읽다 13] 숙위미생고직(孰謂微生高直) _누가 미생고를 곧다고 하는가? 5-24 공자가 말했다. “누가 미생고가 곧다고 하느냐? 어떤 사람이 그에게 식초를 얻으려 하니, 이웃집에서 얻어다 그에게 주었다.” 子曰, 孰謂微生高直? 或乞醯焉, 乞諸其隣而與之. 미생고는 곧은 사람으로 이름나 있었다. 미생고는 애인과 약속을 지키려고 장마철에 다리 밑에서 기다리다가 끝내 불어나는 물에 빠져 죽은 미생(尾生)의 설화와 관련 있는 사람이다. 즉, 목숨을 버려서라도 반드시 자신의 말을 지키려 했으니 미생고는 곧은 사람이 아니냐는 것이다. 그렇지만 이는 공자가 생각하는 곧음이 아니었다. 어떤 사람이 식초를 얻으러 왔을 때 자기 집에 식초가 없자 미생고가 이웃집에 가서 식초를 대신 얻어다 건네준 일이 있었다. 공자는 이 일을 예로 들면서 미생고가 솔직한 사람이 아니라고 품평한다. 아름다운 이름..
[시골마을에서 대학을 읽다] 인막지기자지악, 막지기묘지석(人莫知其子之惡, 莫知其苗之碩, 사람은 그 자식의 잘못을 알지 못하며, 그 싹의 자람을 알지 못한다) 그러므로 속담에 이런 말이 있다. “사람은 그 자식의 잘못을 알지 못하며, 그 싹의 자람을 알지 못한다.” 이것을 일컬어서 몸을 닦지 않으면, 그 집안을 가지런히 할 수 없다고 하는 것이다.故諺有之曰, 人莫知其子之惡, 莫知其苗之碩. 此謂, 身不修, 不可以齊其家. 어제에 이어서 전(傳) 8장의 나머지 문장을 읽겠습니다. 오늘은 당시에 널리 알려진 속담을 들어서, ‘수신(修身)’과 ‘제가(齊家)’의 관계를 설명합니다. 『대학』의 저자는 집안을 바로잡음으로써 천하를 바로잡을 수 있다고 믿었고, 자신의 몸을 맑게 닦음으로써 집안을 바로잡을 수 있다고 믿었습니다. 몸을 맑게 닦는 것은 단지 집안을 다스리기 위한 것만은 아닙니다. 사물의 이치를 깨닫고 앎을 끝까지 하는 격물치지(格物致知)도 그 안에는 분명히 들어 ..
[시골마을에서 대학을 읽다] 호이지기악 오이지기미(好而知其惡 惡而知其美, 좋아하면서 그 나쁜 점을 알고, 싫어하면서 그 좋은 점을 알다) 이른바 그 집안을 가지런히 하는 것이 그 몸을 닦는 데 달려 있다는 말은, 사람은 그 가까이하고 사랑하는 바가 있으면 이에 치우치고, 그 낮춰 보고 싫어하는 바가 있으면 이에 치우치고, 그 두려워하고 공경하는 바가 있으면 이에 치우치고, 그 가엽어하고 불쌍히 여기는 바가 있으면 이에 치우치고, 그 멋대로 굴고 게을리 대하는 바가 있으면 이에 치우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좋아하면서도 그 나쁜 점을 알고, 싫어하면서도 그 좋은 점을 아는 이는 천하에 드물다.所謂齊其家在修其身者, 人之其所親愛而辟焉, 之其所賤惡而辟焉, 之其所畏敬而辟焉, 之其所哀矜而辟焉, 之其所敖惰而辟焉. 故好而知其惡, 惡而知其美者, 天下鮮矣. 오늘은 전(傳) 8장을 읽겠습니다. 8장은 수신(修身)의 뜻을 설명합니다. 『대학』의 저자는 도탄에 빠..
[시골마을에서 대학을 읽다] 심부재언(心不在焉, 마음이 여기에 있지 않으면) 이른바 몸을 닦는 것이 그 마음을 바르게 하는 데 있다는 것은, 몸에 분하고 성냄이 있으면 그 바름을 얻지 못한다는 것이요, 무섭고 두려워함이 있으면 그 바름을 얻지 못한다는 것이요, 좋아하고 즐김이 있으면 그 바름을 얻지 못한다는 것이요, 근심하고 걱정함이 있으면 그 바름을 얻지 못한다는 것이다. 마음이 여기에 있지 않으면 보아도 보이지 않고, 들어도 들리지 않고, 먹어도 그 맛을 알지 못한다. 이를 일컬어 몸을 닦는 것은 그 마음을 바르게 하는 데 놓여 있다고 한 것이다. 所謂修身在正其心者, 身有所忿懥, 則不得其正, 有所恐懼, 則不得其正, 有所好樂, 則不得其正, 有所憂患, 則不得其正. 心不在焉, 視而不見, 聽而不聞, 食而不知其味. 此謂修身在正其心. 전(傳) 7장은 8조목 중에서 ‘정심(正心)’을 풀이..
[시골마을에서 대학을 읽다] 성의(誠意, 뜻을 정성스럽게 하다) 이른바 그 뜻을 정성스럽게 한다는 말은 자기를 속이지 않음이니, 고약한 냄새를 싫어하는 것과 같고 아름다운 색을 좋아하는 것과 같은 것이다. 이를 일컬어 스스로 편안하다고 한다. 그러므로 군자는 반드시 그 홀로 있음을 삼가는 법이다.所謂誠其意者, 毋自欺也, 如惡惡臭, 如好好色, 此之謂自謙. 故君子必愼其獨也. 전(傳) 5장은 건너뛰고 곧바로 6장으로 넘어갑니다. 주희는 5장에 “차위지본(此爲知本), 차위지지지야(此爲知之至也).”라는 문장만 있음을 기이하게 생각했습니다. 8조목의 첫머리에 해당하는 “격물치지(格物致知)”를 해설하는 부분이 세월이 지나면서 누락되었다고 여긴 것입니다. 이에 ‘보망장(補亡章)’이라고 해서 본인이 직접 그 내용을 상상해서 보충해 넣었습니다. 일단 이 부분은 건너뜁니다. 후대의 창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