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의 ‘2018년 출판산업동향 보고서’가 발표됐다. 한국 출판산업의 상태 변화 추이를 살필 수 있는 유일한 공식 자료에 해당한다. 국민이 출판 실상을 알 수 있게 정확한 사실을 알리는 게 정부 산하기관의 임무일 터인데, 이상하게도 아무 보도자료 없이 자료실에만 올려 두었기에 내려받아 한 해 동안 출판산업의 변화를 간략히 살펴보았다.
2018년 출판산업은 한마디로 ‘소출판 인플레이션’으로 정리할 수 있다. 전체 산업 규모는 단행본 1조 1698억 원, 교육출판 2조 8244억 원 등 3조 9982억 원으로, 전년 대비 0.1% 상승에 그쳤다. 오래전부터 시장규모는 정체와 하향을 반복하면서 조금씩 줄어들고 있다. 이에 반해 해마다 출판사 숫자는 늘어나고 발행 종수는 폭증 중이다.
2018년 말 기준으로 문화체육관광부의 등록 출판사는 전년에 비해 6.3% 늘어난 5만 9306개다. 2013년 4만 4148개였으니 5년 만에 34.2%나 증가했다. 예전엔 출판 등록만 해 놓은 ‘좀비 출판사’가 많았지만, 최근엔 무실적 출판사가 줄어드는 추세다. 2018년 실적 출판사는 8058개로, 한국 출판 역사상 처음 8000대에 진입했다. 2017년에 비해 13.6%, 2013년과 비교하면 40.4% 증가했다. 전자책, 만화, 잡지 등을 제외한 발행 종수도 8만 1890종으로 2017년 8만 130종 대비 2.2% 늘어나 또다시 8만 종을 넘어섰다.
101종 이상 발행 출판사는 121개로, 전년에 비해 9개사가 늘었다. 10종 이하 발행 출판사 역시 6625개로 1년 만에 259개 증가했다. 둘의 동시 증가는 출판 양극화의 한 지표로 읽힌다. 각각 연매출 50억 원 이상 대형 출판사와 5억 원 이하 소출판사의 평균 발행 종수와 비슷하기 때문이다.
중형 출판사(31~50종 발행) 숫자가 221개에서 212개로, 중대형 출판사(51~100종) 숫자가 159개에서 150개로 줄어든 것도 좋지 않다. 시장 규모는 그대로인데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종당 평균 판매량이 줄어드는 바람에 인건비, 마케팅비 등 고정비 부담이 커지면서 규모의 경제를 감당하기 힘든 중(대)형 출판사가 약해지고, 출판사 세포분열이 심해지는 징후로 읽힐 수 있기 때문이다.
시장 상황이 어려운데도 도전이 줄지 않고 발행 종수가 늘어나는 역설적 상황, 즉 소출판 대팽창 현상이 나타나는 것은 무엇보다 좋은 책을 만들려는 출판인의 열정 덕분이다. 하지만 이를 지탱하는 네 가지 현실적 힘이 작용하는 것처럼 보인다.
모든 사람이 소셜네트워크서비스에 글을 올려 독자를 확보하는 ‘누구나 저자, 모두가 출판사 시대’의 개막, 교정교열·디자인·인쇄 및 제작·영업 등 생산 및 영업의 서비스화, 인터넷서점이나 대형 체인서점의 판매 비중이 높아지는 등 단행본 유통 용이성의 증가, 텀블벅·와디즈 등 소셜 펀딩 업체를 활용한 독자 직접 투자의 활성화 등이다.
출판산업 전반의 자본 수익률이 떨어지는 상황에서 이러한 환경은 소출판사들이 작지만 강한 책으로 초니치(niche) 시장을 공략하는 등 오히려 종 다양성을 늘리면서 다품종 소량생산 전략을 택할 수 있게 만들어 준다. 물론 중대형 출판사는 몸집 때문에 이 길을 택하기 힘들다. 과감한 투자를 통해 지금껏 없었던 제품이나 시장을 개척하는 등 사업 자체를 혁신하는 길로 나설 수밖에 없다. 그러지 않으면 장기적으로 규모의 위축 또는 사업 전환의 유혹을 피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물론 소출판 인플레이션은 그 자체로 오래 지속될 수 없다. 경영상 어려움을 호소하는 출판인들이 주변에 점점 늘어나는 중이다. 따라서 출판인들의 열의가 사그라지기 전에 독자 공동체 활성화 등 사회적 독자 개발(수요 창출)에 나서야 한다. 도서관 장서량을 늘리는 등 국가적 지원 시스템이 구축되고, 출판사가 모험 투자에 나설 때 도움받을 출판펀드 사업이 조속히 시행되어 혁신의 힘이 발휘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출판 종합정보시스템이 구축되지 않아 책의 실제 판매량 등을 알지 못하는 깜깜이 상황이 계속되고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는 정부와 출판 단체의 무관심이 안타깝다. 내년에는 무엇보다 이 보고서 숫자 자체가 추정에서 확정으로 혁신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서울신문 문화마당 칼럼입니다.
'잡문(雜文) > 공감과 성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학 가지 않아도 행복한 나라 (0) | 2019.11.09 |
---|---|
프리랜서 전문가와 잘 일하는 법 (0) | 2019.10.30 |
서울국제도서전을 즐기는 방법 (0) | 2019.06.13 |
[내 인생의 노래] 조앤 바에즈의 「솔밭 사이로 흐르는 강물(the river in the pines)」 (0) | 2019.03.24 |
100세 인생 시대의 노후 전략 (0) | 2019.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