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번역/후한서

[저자와 차 한잔] ‘후한서’ 완역한 장은수 민음사 대표(서울신문)



이번에 후한서』를 출판하고 나서 주요 일간지 여기저기에 기사가 났습니다. 이 자리를 빌려 모두 감사드립니다. 하나씩 이 블로그에 옮겨서 차례대로 소개합니다.





“후한서는 중국사 넘어 동아시아 공통사지요”


기원전 206년 고조 유방(劉邦)이 세운 한(漢)왕조는 서기 9년 왕망의 정변으로 신(新)나라를 세울 때까지 유지됐다. 서기 25년 한나라 왕조의 후예인 유수(劉秀)가 신나라를 무너뜨리고 한나라를 재건했으니 그가 광무제(光武帝)다. 역사에서는 신나라 이전을 전한, 이후를 후한으로 각각 구분한다. 후한은 서기 220년 헌제(獻帝)가 조조의 아들 조비에게 제위를 물려줌으로써 막을 내린다. 남북조 시대 유송(劉宋) 왕조의 역사가 범엽(范曄·398~445)이 200년가량 지속한 후한의 흥망성쇠를 기록한 ‘후한서’(後漢書)가 처음으로 완역돼 나왔다. 


▲ 완역본 ‘후한서’를 출간한 장은수 민음사 대표는 15일 “동아시아의 통서로 읽혀 온 후한서는 오늘날 지도자의 덕목이 무엇인지, 정치의 본질은 무엇인지를 일깨워준다”고 말했다.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


역사학자도, 한문학 전공자도 감히 엄두를 내지 않았던 후한서 번역에 도전한 이는 현대문학을 전공한 전문 출판인 장은수(46) 민음사 대표다. 지난 15일 서울 강남구 신사동 민음사 소회의실에서 만난 장 대표는 “후한서는 단순한 중국사가 아니라 동아시아의 공통사로 우리의 고대사와 맞물려 있기에 의미가 큰데도 지금까지 너무 소홀히 다뤘다”면서 “아마추어적 작업의 결과물이라 쑥스럽지만 좋은 번역본이 나올 때까지 그저 갈증을 달래는 용도로 읽혔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말했다.

범엽의 ‘후한서’는 사마천의 ‘사기’, 반고의 ‘한서’, 진수의 ‘삼국지’와 함께 중국사 전체를 포괄하는 25사 중 으뜸인 4사로 불린다. 후한은 오늘날 중국 정치문화의 토대를 이룬 시기이자, 중화(中和)의 사상적 기반이 다져진 중요한 시기로 고려와 조선시대에 왕조의 역사서, 선비의 역사서로 널리 읽혔다. 중국의 역사와 동아시아의 문화에 관심 있는 사람들이라면 한 번쯤은 반드시 읽어야 할 책이다. 어려서 아버지가 시키는 대로 ‘명심보감’, ‘천자문’, ‘소학’을 마지못해 외웠던 것을 빼고는 한문과 담을 쌓았던 그가 후한서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은 삼국지에 펼쳐진 세계를 좀 더 깊이 있게 탐구해 보려는 마음에서였다.

“정사 삼국지를 원문을 참조해 보다가 이 시기를 다룬 또 다른 역사서인 후한서와 대조해 읽어보려고 번역본을 찾았는데 우리말 번역본이 없었어요. 삼국지와 시기가 겹치는 후한서 본기 중 마지막 세 황제의 기록 부분을 한문공부도 할 겸 조금씩 옮겨 본 것이 그 시작이었죠.”

번역자를 찾다가 포기하고, 2005년부터 5년 동안 주말과 휴일을 이용해 직접 한 줄 한 줄 번역했다. 대학 선배가 주간으로 있는 새물결 출판사에서 책을 내기로 하고는 말을 다듬고, 주석을 번역하고 정리하는 데 또 3년이 걸렸다. 

범엽은 비록 역적모의로 한창 집필 중에 죽임을 당했지만 사마천에 못지않는 역사가이며 대단한 문장가로 후대에 평가받은 인물이다. 장 대표는 “출판편집인으로서 가장 신경 쓴 부분은 원작자가 역사의 서술을 통해 전하고자 했던 의미를 충실히 전달하고, 특히 독자들이 쉽게 읽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었다”고 했다. 

“광무제가 여러 호족의 도움을 받아 나라를 일으키고 천하를 통일할 수 있었던 것은 그의 인내심과 포용력이었습니다. 대의를 생각해 자기를 굽힐 줄 알고, 기본적으로 관대하고 이상적인 지도자였습니다. 하지만 후반부로 가면 상층부가 부패하고 백성의 삶에 대한 관심이 끊어져 나라가 순식간에 무너지고 맙니다. 지도자의 솔선이 중요하다는 것을 역사는 가르쳐 주고 있습니다.” 

후한서는 본기 10권과 열전 80권, 제도사에 해당하는 지(志) 등 전체 100권으로 구성된다. 이번에 본기가 나왔으니 10분의1이 번역된 셈이다. 장 대표는 “시간이 오래 걸리긴 하겠지만 열전을 옮겨 볼 계획”이라고 말했다.

함혜리 선임기자 lotus@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