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잡문(雜文)/공감과 성찰

100세 인생 시대의 노후 전략


요즈음, 아내와 앞날을 이야기하는 일이 부쩍 늘었다. 세상의 앞일이나 우주의 미래 같은 거창한 이야기는 아니고, 주로 ‘100세 인생’을 살아갈 둘의 앞날에 대한 소소한 이야기들이다. 때때로 미세먼지로 숨 막혀 죽지 않기를, 때때로 전쟁광들에 맞서 평화를 간절히 바라기도 한다. 하지만 인생 절반을 갓 넘긴 입장에서 정신적, 신체적으로 건강히 살고 평안히 스러지려면, 노후 경제문제 등 사적으로 건사할 일도 한둘은 아니다.

수명과 관련해 인간은 완전히 새로운 시대로 접어들었다. 공중보건의 지속적 확산과 의학의 비약적 발달로 기대여명이 실제로 100세가 될 가망성이 높다. 심지어 어떤 학자는 100세를 최소수명으로 생각하는 것이 현명하다고 주장한다. 

그런데 사람들 대부분이 한 세기를 살아가는 사회를 인류는 경험하지 못했다. 학교 교육, 직장 정년, 노후 연금, 의료보험 등 현재의 사회 시스템은 인간 수명을 70~80세 정도로 가정한 상태에서 설계되었다. 100세 시대에 적합하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평생학습을 의무화하고 연령차별(정년)을 폐지하는 등 시스템 전반의 혁신이 없다면 사회 전체가 서서히 파멸에 이를지도 모른다. 우리 부부도 노년의 삶이 이토록 길어질 수 있으리라고는 전혀 생각지 못한 탓에 뒤늦게 호들갑을 부리는 중이다.


린다 그래튼 & 애드루 스콧의 『100세 인생』, 안세민 옮김(클, 2017)


『100세 인생』(클)에서 린다 그래튼 런던경영대학원 교수는 나이에 상관없이 살아가는 힘을 길러야 한다면서 노후 대비의 초점을 옮길 것을 주문한다. 수명이 짧을 때에는 부동산이나 예금 등 유형자산을 모으는 것이 중요했다. 그러나 100세 인생 시대에는 지식・기술・인맥・평판 등 나이 들어서도 일을 만들어 주는 생산자산이나 건강・우정・사랑, 일과 삶의 균형 등 신체적・정신적 행복을 유지해 주는 활력자산이 더 중요하다. 여기에 덧붙여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에 적응하도록 돕는 건강한 자기인식, 새로운 인간관계를 형성해 주는 다양한 네트워크, 신선한 경험에 열려 있는 학습능력 등 변형자산도 갖출 필요가 있다. 삶이 얼마나 길어질지 미지수에다 앞으로 무슨 일이 일어날지 알 수 없으므로 시대의 흐름에 발맞추어 꾸준한 자기 갱신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래튼 교수에 따르면, 배움-노동-은퇴로 이루어진 3단계 인생 사이클은 저물고, 배우고 일하고 휴식하는 것을 수시로 반복하는 ‘다단계 인생’ 시대에 접어들었다. 이러한 시대에 유형자산은 언젠가는 소진되기 쉬울 뿐만 아니라 기껏해야 돈을 만들어 줄 뿐이다. 그러나 생산자산, 활력자산, 변형자산 등 무형자산은 힘이 다하는 날까지 일을 이어주는 동시에 삶의 보람까지 느낄 수 있도록 해 준다. 노후를 생각할수록 돈도 중요하지만 인생의 의미를 좇아야 한다. 나이 들어 필요한 것은 명예, 사랑, 우정이라고 한 셰익스피어가 옳았다.


==================


《매일경제》에 한 주에 한 번 쓰는 칼럼, 이번 주에는 아내와 함께 읽고 있는 린다 그래튼 교수의 책 ‘100세 인생’을 다루어 보았습니다.